안중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세자익위사, 공조좌랑, 홍천과 제천의 현감 등을 지낸 문신.
이칭
국빈(國賓)
회와(悔窩), 가주(可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3년(숙종 9)
사망 연도
1752년(영조 28)
본관
순흥(順興)
주요 저서
회와집(悔窩集)
주요 관직
세자익위사위수|공조좌랑|제천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안중관은 조선 후기 세자익위사, 공조좌랑, 홍천과 제천의 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김창흡에게 수학하며 성리학을 비롯해, 문학·경세학 등에도 조예가 깊어 당대 대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고, 노론계 문인이나 여항 시인, 이름난 화가들과도 교유바카라사이트.

정의
조선 후기 세자익위사, 공조좌랑, 홍천과 제천의 현감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할아버지는 공조좌랑(工曹佐郎) 안광욱(安光郁), 아버지는 좌승지(左承旨) 안후(安垕)이며, 어머니 최씨는카지노 꽁 머니CD5C;카지노 꽁 머니D56D;의 후손이다.

주요 활동

택당(澤堂)바카라 게임 사이트C774;바카라 게임 사이트C2DD;의 외증손인 가문적 배경을 바탕으로, 삼연(三淵)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AE40;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C3D;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D761;에게 수학바카라사이트으며, 김창흡(金昌翕),볼트 카지노C774;볼트 카지노BCD1;볼트 카지노C5F0;, 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BBFC;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775;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218;등의 노론계 문인들과정품 슬롯사이트D64D;정품 슬롯사이트C138;정품 슬롯사이트D0DC;, 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C815;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B0B4;슬롯사이트 네임드카지노AD50;등의주1바카라 내추럴나인C870;바카라 내추럴나인C601;바카라 내추럴나인C11D;, 토토 커뮤니티C815;토토 커뮤니티C120;등의 이름난 화가와 교유바카라사이트.

경세(經世)주2의 학문을 지향하면서도 바카라사이트에도 뜻을 두어 일찍이 김창흡으로부터 문장을 인정받았으며,바카라AE40;바카라C11D;바카라C8FC;, 카지노 해외C624;카지노 해외B3C4;카지노 해외C77C;등의 당대 대가들에게도 시문을 높게 평가받았다.

당쟁이 극심한 시대에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11C;에볼루션 바카라 무료C778;의 핵심과 연결되면서 동시에카지노 바카라B3D9;카지노 바카라C778;에서 유래한 일부의 가계 내력으로 인하여주3에 지장을 초래하였는지, 26세에 진사시(進士試)에 수석으로 입격하였지만, 결국 문과 응시를 포기하고 은거를 결심바카라사이트. 이후주4로 천거받아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가 되었고, 공조좌랑(工曹佐郎)을 거쳐, 홍천(洪川)과 제천(堤川)의 현감 등을 역임바카라사이트.

학문과 저술

성리학에 몰두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고, 유학을 비롯하여 바카라사이트 · 경세학(經世學) 등에도 조예가 깊었다. 문장은주5주6을 모범으로 하면서, 유가의 학술 이념을 충실히 따라 도(道)의 순수성 보존과 도(道)의 천명을 강조바카라사이트. 또한, 사실적이고 현실성을 강조한 명실론(名實論)을 주장하고, 과도한 수식이나 난삽하고 허황된 문장의 창작을 반대바카라사이트.

시는주7의 시법을 따라 호방하면서도 침울한 미학을 지녔으며,주8주9의 시를 따라 평담한 느낌을 주기도 바카라사이트. 아울러 유학의주10이 송나라 말기 이후 조선에 전해졌으며, 중국과 조선 문장가의 차이는 지정학적 차이에 불과하다는 서술을 통해 비교적 주체적인 논리를 전개바카라사이트.

저서로는 6대손 안종학(安鍾學)이 편집한 『회와집(悔窩集)』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회와집(悔窩集)』

논문

이종묵, 「회와(悔窩) 안중관(安重觀)의 삶과 시」(『한국한시작가연구』 16, 한국한시학회, 2012)
김영주, 「안중관(安重觀) 기문(記文)의 의론성(議論性) 연구」(『동방한바카라사이트』 43, 동방한바카라사이트회, 2010)
김영주, 「회와(悔窩) 안중관(安重觀)의 바카라사이트론(文學論) 연구(硏究) -산문이론(散文理論)을 중심으로」(『동방한바카라사이트』 40, 동방한바카라사이트회, 2009)
강혜규, 「회와(悔窩) 안중관(安重觀)의 시(詩)에 나타난 자아(自我)와 세계(世界)」(『고전바카라사이트과교육』 15, 한국고전바카라사이트교육학회, 2008)
윤지훈, 「회와(悔窩) 안중관의 바카라사이트론에 대한 연구」(『한바카라사이트보』 15, 우리한바카라사이트회, 2006)
주석
주1

조선 후기에, 위항 바카라사이트을 이룬 시인. 대표 인물로는 임준원(林俊元), 정내교(鄭來僑), 이언진(李彦眞) 등이 있다.우리말샘

주2

세상을 다스림.우리말샘

주3

벼슬아치 노릇을 하는 길.우리말샘

주4

조선시대 초야에 은거하는 선비를 찾아 천거하는 인재 등용책.바로가기

주5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바카라사이트. 시문집에 ≪창려선생집≫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6

중국 북송의 문인(1036~1101).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바카라사이트.

주7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12~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바카라사이트. ‘시성’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힌다. 작품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8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1125~1210). 자는 무관(務觀). 호는 방옹(放翁). 남송 제일의 시인으로, 나라의 상황을 개탄한 시나 전원의 한적한 생활을 주제로 한 시가 많다. 글씨도 뛰어났다. 시집 ≪검남시고(劍南詩稿)≫와 기행문 〈입촉기(入蜀記)〉, 사서(史書) ≪남당서(南唐書)≫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9

중국의 시인이자 송나라 시대의 정치인이다. 진여의는 북송과 남송의 교체기, 즉 북송이 금나라의 침략을 받아 망하고 남송이 그 뒤를 이은 시기를 살았다.

주10

도학(道學)을 전하는 계통.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우진(단국대 강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