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익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군자감정, 공조좌랑,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위(士衛)
숙야재(夙夜齋)
시호
문충(文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0년(숙종 16)
사망 연도
1742년(영조 18)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주요 관직
군자감정|공조좌랑|이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군자감정, 공조좌랑,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사위(士衛), 호는 숙야재(夙夜齋). 관찰사 민광훈(閔光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이고, 아버지는 민진후(閔鎭厚)이며, 대사헌 민우수(閔遇洙)의 형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진사로서 세마(洗馬)의 자리에 올랐으나, 조정이 당론으로 소란스러운 것을 보고는 과업(科業)을 포기한 채 동생 민우수와 함께 여강(驪江)으로 돌아가 은거하였다. 그 뒤 공조좌랑·사어(司禦) 등에 제배(除拜)되었으나 관직에 오르지 않았다.

1729년 재행(才行)으로 한덕필(韓德弼) 등과 함께 별천(別薦)에 올랐다가, 1737년 군자감정(軍資監正)에 음보(蔭補)로 기용되었다. 1740년 지평(持平)으로 대직(臺職)에 올라 그해에 장령(掌令)으로 승진하였다. 그런데 같은 해 이른바 위시사건(僞詩事件)이 일어나 1717년(숙종 43)의 이이명(李頤命)의 정유독대(丁酉獨對) 때의 일이 드러났다.

이와 함께, 종제(從弟) 민형수(閔亨洙)가 김용택(金龍澤)의 아들 김원재(金遠材)의 집에 영조가 쓴 시가 있고, 이를 그가 보았다고 말하여 이 사건에 말려들었으나 좌의정 송인명(宋寅明)이 구원하여 삭직(削職)되는 정도에 그쳤다. 1804년(순조 4) 좌의정 서매수(徐邁修)의 진언에 의하여 관직과 시호의 추증이 결정되어, 이듬해 정월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당의통략(黨議通略)』
집필자
박광용(성심여자대학,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