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편 ()

과학기술
문헌
1860년경, 정약용의 제자 이청이 저술한 천문학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860년(철종 11)경
저자
이청
권책수
8권 3책
권수제
정관편(井觀編)
판본
필사본
표제
정관편(井觀篇)
소장처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관편은 1860년경 정약용의 제자 이청이 저술한 천파라오 슬롯서이다. 『동국문헌비고』 「상위고」(1770년)와 『국조역상고』(1796년) 등 조선의 관찬 천파라오 슬롯서는 물론이고, 『신법산서』(1645년)와 『역상고성』(1723년) 등 중국에서 편찬된 거질의 관찬 천파라오 슬롯서에 담긴 천파라오 슬롯 지식 정보들을 인용 발췌하며 정리한 대작이다. 특히 조선의 학인들 사이에서는 별로 유통되지 않았던 17세기 중국의 방이지(方以智) 학파의 천파라오 슬롯 지식 정보를 담은 『물리소지』와 『고금석의』(1682년 간행)를 활용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정의
1860년경, 정약용의 제자 이청이 저술한 천문학서.
저자 및 편자

강진(康津)주1 주2시절바카라 꽁 머니C815;바카라 꽁 머니C57D;바카라 꽁 머니C6A9;의 제자였던사설 바카라C774;사설 바카라CCAD;이 그의 말년인 1860년(철종 11)경에 단독으로 저술하였다.

서지사항

8권 3책 분량의주3으로,주4이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강진 유배 시절 정약용의 수많은 저술 활동을 수제자로서 손발이 되어 도왔던 이청은 정약용으로부터 큰 지적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에볼루션 바카라 사이트CC9C;에볼루션에는 비교적 해박하지 못하였던 정약용이었기에 그로부터 전문적인 천파라오 슬롯 관련 학습을 받지는 못하였다.

정약용이 강진을 떠난 후 이청은 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어렵게 서울 생활을 하면서 천파라오 슬롯 정보를 습득하고 공부하였던 것 같다. 특히 달성서씨(達城徐氏)해시 게임 바카라C11C;해시 게임 바카라BA85;해시 게임 바카라C751;, 슬롯 머신 규칙C11C;슬롯 머신 규칙D638;슬롯 머신 규칙C218;, 토토 가상계좌 디시C11C;토토 가상계좌 디시C720;토토 가상계좌 디시AD6C;로 이어지는 자타가 인정하는 조선 최고의 사대부 천파라오 슬롯자 집안의 서자인 서팔보(徐八輔)와 교류를 맺으며, 천파라오 슬롯 전문가들도 접근하기 어려운 중국과 조선의주5의 천파라오 슬롯 관련 문헌들을 섭렵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정관편(井觀編)』이라는 조선에서는 보기 어려운 대작(大作)을 혼자의 힘으로 저술할 수 있었다.

구성과 내용

『정관편』은 천파라오 슬롯 분야의 거의 모든 주제들을 총 38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8권 3책으로 담았다. 각 주제별로 고금의 문헌에 나오는 관련 내용을주6정리한 후, 자신의 견해를 중간에 첨가해 넣거나 마지막에 결론적으로 적어 넣는 식으로 서술되었다. 따라서 천파라오 슬롯 분야의 최신 지식 정보가 잘 정리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논쟁거리였던 주제들에 대해서 이청 자신의 개인적 견해가 잘 드러나 더욱 주목할 만한 천파라오 슬롯서라 할 수 있다.

이청은 조선의 문헌으로는 세종대의토토 롤링CC9C;토토, 영조대의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상위고(象緯考)」(1770년), 그리고 정조대의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1796년) 등 관찬 천파라오 슬롯서에서 중요한 천파라오 슬롯 관련 고사와 이론, 그리고 데이터 등을 발췌해서 정리해 놓았다. 중국 문헌으로는 『속통지(續通志)』(1785년)와 『수도제강(水道提綱)』(1776년)에 수록된 천문 데이터들을 찾아내 소개하고 있다. 17세기 이후 전래된주7서양과학서들인샌즈 카지노 사이트AC74(1605년), 『혼개통헌도설(渾蓋通憲圖說)』(1607년),카지노사이트 천문략(天問略)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615년),바카라 에볼루션 주제군징(主制羣徵)(1629년), 『공제격치(空際格致)』(1633년), 그리고 코페르니쿠스(Nicolaus주8주9을 소개하고 있는 『지구도설(地球圖說)』(1767년 간행) 등도 참고하였다. 나아가 중국 황제의 명으로 편찬된 방대한 분량의 관찬 천파라오 슬롯서들인 『신법산서(新法算書)』(1645년), 『영대의상지(靈臺儀象志)』(1674년), 매문정(梅文鼎,주10의 『역학의문(曆學疑問)』(1693년)과 『규일후성기요(揆日候星紀要)』, 매각성(梅瑴成)의 『역상고성(曆象考成)』(1723년), 대진현(戴震賢, Kögler)의 『역상고성후편(曆象考成後編)』(1742년)과 『흠정의상고성(欽定儀象考成)』(17441752년) 등이 총 망라되었다.

이외에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주11의 『물리소지(物理少識)』와주12, 그의 아들 방중리(方中履)의 『고금석의(古今釋疑)』(1682년 간행)를 인용 소개할 뿐만 아니라, 그들 과학 이론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이청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는 것이다. 이 문헌들에 담긴 천파라오 슬롯 지식에 대한 논의는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C774;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ADDC;바카라 가상머니 사이트ACBD;카지노 슬롯 머신C624;카지노 슬롯이외에는 이청의 『정관편』이 유일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정관편』은 정부가 편찬한 어떤주13천파라오 슬롯서들보다 천파라오 슬롯 관련 최신의 전문적인 지식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천파라오 슬롯서이며, 17세기 이래 서양식 천파라오 슬롯이 전래된 이후, 조선의 천파라오 슬롯 이론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문헌이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서울의 명문가 출신의바카라 총판C0AC;바카라 총판B300;바카라 총판BD80;관료도 아니고,토토사이트AD00;토토사이트C0C1;토토사이트AC10;의 천파라오 슬롯자 출신도 아니면서, 호남(전라도 강진)의 한미한토토 도박C544;토토 도박C804;집안 출신자가 저술하였다는 점에서도 놀랍다고 할 만하다.

참고문헌

원전

『정관편(井觀編)』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논문

문중양, 「19세기의 호남 실학자 이청의 『정관편』 저술과 서양 천파라오 슬롯 이해」 (『한국문화』 3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문중양, 「19세기 조선의 자연지식과 과학담론: 명말·청초 중국 우주론의 늦은 유입과 그 영향」 (『다산학』 13, 다산학술문화재단, 2008)
문중양, 「정관편 해제」 (『다산학단 문헌집성』 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임형택, 「정약용의 강진유배기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한국한파라오 슬롯연구』 21, 한국한파라오 슬롯회, 1998)
주석
주1

전라남도 강진군에 있는 읍. 강진군의 중서부에 위치해 있다. 서쪽과 북쪽은 200~500미터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과 남쪽은 탐진강의 하류 지역으로 기름진 넓은 들이 있다. 남해안의 곡창 지대이며, 주로 쌀ㆍ보리를 생산한다. 군내의 교통 중심지이자, 농산물 집산지이며, 행정ㆍ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4일과 9일에 장이 선다. 문화재로 강진 향교, 강진 남강사 주자 갈필 목판 일괄, 강진 옥련사 목조 여래 좌상, 강진 영랑 생가, 강진 금강사, 고성사, 남강 서원, 주자 갈필각, 화수각 등이 있다. 강진군의 도청 소재지이다. 면적은 50.91㎢.우리말샘

주2

오형(五刑) 가운데 죄인을 귀양 보내던 일. 그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원근(遠近)의 등급이 있었다.우리말샘

주3

손으로 써서 만든 책.우리말샘

주4

오직 하나밖에 없는 책.우리말샘

주5

예전과 지금을 아울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6

책, 글 따위에서 필요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가려 뽑아냄. 또는 그런 내용.우리말샘

주7

한문으로 번역함. 또는 그런 글이나 책.우리말샘

주8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폴란드의 천파라오 슬롯자(1473~1543). 육안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지동설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가 있다.우리말샘

주9

지구는 자전하면서 태양의 주위를 돈다는 설.우리말샘

주10

중국 청나라의 수학자(1633~1721). 자는 정구(定九). 호는 물암(勿菴). 중국과 서양 수학을 동시에 통달하였으며 저서에 ≪매씨역산전서(梅氏曆算全書)≫가 있다.우리말샘

주11

중국 명나라 말ㆍ청나라 초의 학자이자 사상가(1611~1671). 호는 만공(曼公). 자는 밀지(密之). 세계는 모두 둘로 나뉘어 있으며, 이 둘이 서로 엇바뀌거나 대립하고 원인이 되는 관계를 이루는 ‘하나’인 것으로 보았다. 저서에 ≪계고당문집(稽古堂門集)≫, ≪부산전집(浮山全集)≫, ≪부산후집(浮山後集≫ 등이 있다.우리말샘

주12

중국 명나라의 방이지(方以智)가 펴낸 잡가류(雜家類)의 책. ≪이아(爾雅)≫의 체재를 본떠서 25문(門)으로 나누고 명물(名物), 상수(象數), 훈고(訓詁), 음운(音韻) 따위의 어원에 대하여 상세히 고증하였다. 52권.우리말샘

주13

관청에서 서적을 편찬함. 또는 그 서적.우리말샘

집필자
문중양(서울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