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749년 청도군 용천사에서 조성된 대형 불화.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49년(영조 25)
작가
미상
소장처
용천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淸道 湧泉寺 靈山會上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7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청도군 헐티로 1375-9 (각북면, 용천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올림푸스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는 1749년 청도군 용천사에서 조성된 대형 불화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용천사에 있으며, 석가여래가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대형 불화로 제작되었다. 18세기 중엽 경상도 지역의 불화 특징을 보여 주며, 불·보살상의 온화한 표정, 균형있는 신체 비례, 짜임새있는 구성이 낮은 채도와 뛰어난 필력으로 묘사되어 차분하고 장엄한 영산회상 장면을 표현하였다.

정의
1749년 청도군 용천사에서 조성된 대형 불화.
내용

1749년(영조 25) 제작된 대형 불화로 석가여래가 인도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면을 묘사하였다.꽁 머니 카지노BE44;꽁 머니 카지노C2AC;꽁 머니 카지노C0B0; 꽁 머니 카지노C6A9;꽁 머니 카지노CC9C;꽁 머니 카지노C0AC;대웅전 후불도로 봉안되었던슬롯 꽁 머니C601;슬롯 꽁 머니C0B0;슬롯 꽁 머니D68C;슬롯 꽁 머니C0C1;슬롯 꽁 머니B3C4;로 2000년 5월 30일경 도난되었다가 2014년 8월에 회수되었다.

형태 및 특징

세로 339.5㎝, 가로 283.0㎝의 비단 바탕 화면에 제작된 대형 불화이다. 이중 연판 형식의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편단우견(偏袒右肩)을 한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협시보살, 6대 보살, 나한, 신중,바카라 찍어먹기 배팅C0AC;바카라 찍어먹기 배팅CC9C;바카라 찍어먹기 배팅C655;등의 많은 권속이 둘러싸고 있는데, 위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져 상승효과와 위계를 표현하였다.

석가여래는 단정한 표정과 당당한 신체비례로 항마촉지인의 손 모양을 하고 수미단 위에카지노 로얄ACB0;카지노 로얄AC00;카지노 로얄BD80;카지노 로얄C88C;하고 있다. 왼쪽 협시보살은 여의(如意)를 들고, 오른쪽 협시보살은 연꽃 봉오리를 받쳐 들고 석가여래의 무릎 아래에서 측면관을 한 채 연꽃 위에 서 있다.

북방 다문천왕, 동방 지국천왕, 남방 증장천왕, 서방 광목천왕이 각각 합장인, 보검, 용과 여의주, 보탑을 들고 있는 사천왕 배치는 「메이저사이트D1B5;메이저사이트B3C4;메이저사이트C0AC;」(1734년)의 형식과 비슷하다. 이외에도 많은 권속을 엄정하고 세밀한 묘사로 짜임새 있게 표현하였다.

중심 색인 붉은색과 녹색을 낮은 채도로 사용하고 광배와 옷에 세밀한 꽃무늬 장식을 하여 장엄한 부처의 세계를 구현하였다. 또한 뛰어난 필력으로 묘사된 생생한 인물과 바림, 돋움기법을 사용한 사실적이고 입체감있는 필선으로 그림에 생동감이 가득하다.

의의 및 평가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6대 보살,바카라 라이브C81C;바카라 라이브C11D;· 범천, 십대제자, 사천왕, 타방불, 용왕 · 용녀, 팔금강 같은 많은 권속을 짜임새 있게 구성되고 명확한 필선으로 뛰어난 인물 묘사를 보여준다. 화기가 훼손되어 화승을 알 수 없지만,바카라C784;바카라D55C;이 1759년 제작한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회도 가운데토토 커뮤니티BE44;토토 커뮤니티B85C;토토 커뮤니티C790;토토 커뮤니티B098;토토 커뮤니티BD88;회도의 연판형 광배에 있는 장식 문양이 같은 형식이며, 석가여래회도의 본존 계주, 군의(裙衣) 끝단 주름형식, 섬세한 화문장식 등이 유사하여 화풍이 관계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성 연대와 소장처가 명확하여 18세기 중엽 경상도 지역의토토 바카라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2017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이용윤, 「조선후기 통도사의 승려문중과 화승 임한」(『불교미술사학』 23, 불교미술사학회, 2017)
장희정, 「18세기 통도사와 화사 임한」(『불교미술사학』 6, 불교미술사학회, 2008)
집필자
김경미(고려대학교 강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올림푸스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올림푸스 슬롯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올림푸스 슬롯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