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진 ()

국악
인물
해방 이후 판소리 「적벽가」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이칭
이칭
호:인당(忍堂)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6년 7월 12일
사망 연도
2003년 7월 8일
출생지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 무릉리(지금의 공주시 무릉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동진은 해방 이후 판소리 「적벽가」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이다. 1916년에 태어나 2003년에 사망했다. 1930년대 김창진, 정정렬 등 여러 소리꾼에게 소리를 배우며 다양한 소리제를 경험했다. 1960∼70년대에 판소리 5바탕을 완창하였다. 「충무공 이순신전」 등 여러 창작 판소리를 지었다. 1973년 국가무형유산 「적벽가」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국립창극단장을 역임하였다. 그의 소리 공력과 공연 능력은 당대 최고로 꼽히고 있다. 현재 『박동진 애창곡집 판소리 다섯 마당』 등 많은 음반과 공연 실황 녹음이 남아 있다. 금관토토랜드훈장이 추서되었다.

정의
해방 이후 판소리 「적벽가」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개설

1930년대에 손병두 · 김창진 · 박지홍 · 유성준 · 정정렬 등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1960∼70년대에 판소리 5바탕을 처음으로 완창하였다. 「숙영낭자전」, 「충무공 이순신전」, 「예수전」 등을 비롯해 여러 창작 판소리를 지었고, 수많은 공연을 통해 대중적인 큰 인기를 끌었다. 1973년 국가무형토토랜드재(현, 국가무형유산) 「적벽가」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국립창극단장을 역임하였고, 금관토토랜드훈장이 추서되었다.

활동사항

인간

상훈과 추모

은관토토랜드훈장(1980), KBS 국악대상(1991), 방일영국악상(1996) 등을 수상하였고, 금관토토랜드훈장(2003)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전통예인 백 사람』(이규원, 현암사, 1995)
「박동진 명창과 창작 판소리」(강윤정, 『판소리연구』제32집, 판소리학회, 2011)
「박동진 명창의 생애와 예술활동」(강윤정, 『판소리 명창론』,판소리학회, 2010)
『인간토토랜드재 박동진 판소리 대전집』(박동진 창, SKC, 18CDs, 1988)
『충무공 이순신』(박동진 창, 홍인서원, 5LP, 1973)
『박동진 애창곡집 판소리 다섯마당(1∼5)』(박동진 창, 지구레코드, 5LP, 1971)
집필자
배연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토토랜드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토토랜드]'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