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도리형식 (민슬롯 사이트)

민도리형식 1
민도리형식 1
건축
개념
기둥 상부에 주두를 비롯한 살미와 첨차, 익공 등의 공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이 직접 보를 받도록 한 목조 구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기둥 상부에 주두를 비롯한 살미와 첨차, 익공 등의 공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둥이 직접 보를 받도록 한 목조 구조.
내용

한국의 목조건축은 기둥 상부가토토 바카라BCF4;를 받도록 하는 부분의 구성에 따라 크게 포집과주1, 민슬롯 사이트집으로 구분된다. 포집과 익공집은 모두 기둥 상부에레고카지노C8FC;레고카지노B450;가 놓이고스피드 바카라 사이트C0B4;스피드 바카라 사이트BBF8;바카라 공식CCA8;바카라 공식CC28;, 카지노사이트C775;카지노사이트ACF5;등의 부재를 조합하여 보를 받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민슬롯 사이트집은 이러한 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기둥 상부가 바로 보를 받도록 한 구조로 주택을 비롯하여 격식이 낮은 건물에 사용된 가장 간단한 형식의 건축 유형에 속한다.

민슬롯 사이트집은 다시 굴슬롯 사이트집과 납슬롯 사이트집으로 세분한다. 굴슬롯 사이트집은 둥근 단면의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B3C4;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B9AC;를 사용한 것으로 슬롯 사이트 아래에는주2라 부르는 장방형 단면의 부재를 사용한다. 즉 굴슬롯 사이트집 구조는 기둥 상부에 사개를 틀고 이 사개에 보와 장혀를 직각으로 결구한 다음 굴슬롯 사이트를 올려토토 바카라 사이트C11C;토토 바카라 사이트AE4C;토토 바카라 사이트B798;를 받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납슬롯 사이트집은 네모난 단면의 슬롯 사이트를 사용한 것으로 기둥 상부에 튼 사개에 보와 납슬롯 사이트를 직접 결구한 구조이다. 따라서 굴슬롯 사이트집은 납슬롯 사이트집에 비해 구조가 좀 더 복잡하고 격식이 높으며, 납슬롯 사이트집은 격식이 낮은 건물에 사용하는 구조이다.

민슬롯 사이트집 구조에서는 별도의바카라사이트CC3D;바카라사이트BC29;을 사용하지 않으나 굴슬롯 사이트집 구조에서는 장혀, 납슬롯 사이트집 구조에서는주3가 창방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또한 기둥 위에 결구한 보 아래에는 보와 같은 방향으로 짧은 장방형 단면의 부재를 끼워 넣기도 한다. 이 짧은 부재는 기둥과 보의 결구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메이저 바카라BCF4;메이저 바카라C544;메이저 바카라C9C0;’라고 부른다. 한편 ‘소로수장집’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굴슬롯 사이트집 구조의 장혀 아래 또 다른 장혀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 장혀와 장혀 사이에슬롯사이트 보스C18C;슬롯사이트 보스B85C;를 끼워 장식한 집을 말한다.

연원 및 변천

민슬롯 사이트집 구조는 가장 간단한 목조주택 구조방식이다. 그 기원은 목조건축의 시작과 함께 하는데, 삼국시대 고구려의꽁 머니 카지노 3 만ACE0;꽁 머니 카지노 3 만BD84;꽁 머니 카지노 3 만BCBD;꽁 머니 카지노 3 만D654;중에서 기둥 위에 바로 슬롯 사이트를 얹은 민슬롯 사이트집 구조를 볼 수 있다. 이후 민슬롯 사이트집 구조는 세부적인 결구 방식에 변화가 있었으나, 가장 간단한 형식의 구조로서 주택을 비롯하여 궁실과 관아,해외 바카라 사이트, 온라인 슬롯등의 부속건물 등 비교적 격식이 낮은 건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 (김도경, 현암사, 2011)
『알기 쉬운 한국건축용어사전』 (김왕직, 동녘, 2007)
『한국건축의장』 (주남철, 일지사, 1997)
『한국건축대계Ⅴ-목조-』 (장기인, 보성문화사, 1991)
주석
주1

기둥 위에 익공을 얹어 지은 집.우리말샘

주2

슬롯 사이트 밑에서 슬롯 사이트를 받치고 있는 길고 모진 나무. ⇒규범 표기는 ‘장여’이다.우리말샘

주3

모가 나게 만든 슬롯 사이트.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도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