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슬롯 꽁 머니는 제의의 과정에서 사용되거나 그것과 관련된 행위가 가해져 변형된 슬롯 꽁 머니이다. 슬롯 꽁 머니가 일상용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형태나 장식을 가진 경우, 혹은 제의의 장소에 공헌되거나 폐기된 슬롯 꽁 머니의 경우 제사슬롯 꽁 머니라 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 제사용으로 제작된 슬롯 꽁 머니로는 눌러찍은무늬가 가득 장식된 대접이 있다. 원삼국시대가 되면 매장의례에 많은 슬롯 꽁 머니가 공헌되고 부장용의 슬롯 꽁 머니 종류도 늘어난다. 음식을 담는 그릇과 커다란 저장용기도 제사에 사용되었다. 삼국시대에 접어들면 매장시설을 밀봉할 때나 봉분의 성토를 하는 과정, 고분 완성하고 후에도 슬롯 꽁 머니를 이용한 제사가 있었다.
슬롯 꽁 머니가 일상용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형태나 장식을 가졌을 경우와 제의의 장소에 공헌되거나 폐기된 슬롯 꽁 머니도 제사슬롯 꽁 머니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를테면 삼국시대 백제와 신라, 가야지역에서 사용하던 통모양그릇받침〔筒形器臺〕은 그 형태만으로도 제의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보는데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일상적인 용도로 만들어졌다가 제사에 사용되는 슬롯 꽁 머니도 많은데 그와 같은 일상용 슬롯 꽁 머니도 제의의 행위에 의해 변형되었거나 제의 과정에서 퇴적되었다는 증거 등을 통해 제사슬롯 꽁 머니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슬롯 꽁 머니가 제사에서 사용된 사례는 슬롯 꽁 머니가 처음 만들어져 사용되었던 신석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석기시대 제사용으로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 슬롯 꽁 머니로는 강원도 고성 문암리유적의 매장유구(埋葬遺構)에서 출토된 대접과 같은 예가 있는데 같은 시기의 다른 슬롯 꽁 머니와는 달리 눌러찍은무늬〔押印文〕가 가득 장식되어 있다. 청동기시대가 되면 제사용으로 따로 제작되는 슬롯 꽁 머니도 현저히 늘어나지만 제의의 장소로 파악되는 유적의 사례도 많아지고 그 장소에는 예외 없이 다수의 슬롯 꽁 머니가 퇴적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붉은간슬롯 꽁 머니〔赤色磨硏土器〕와 가지무늬슬롯 꽁 머니, 검은간슬롯 꽁 머니〔黑色磨硏土器〕 등은 일반 취락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으므로 고인돌[支石墓]과 움무덤〔土壙墓〕에 제사를 지내는데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원삼국시대가 되면 매장의례에 더 많은 수의 슬롯 꽁 머니가 공헌되고 부장용의 슬롯 꽁 머니 종류도 늘어나게 된다. 원삼국시대 전기 널무덤〔木棺墓〕에서는 시신과 함께 껴묻어준 슬롯 꽁 머니와 함께 나무널을 덮고 묻는 과정에서 공헌된 슬롯 꽁 머니도 매장시설 상부에서 발견된다. 원삼국 후기 덧널무덤〔木槨墓〕부터는 매장의례에 사용된 슬롯 꽁 머니가 2∼3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형 덧널무덤의 경우 수십 점의 슬롯 꽁 머니들이 부장되기 시작한다. 특히 대형 덧널무덤에 딸린덧널〔副槨〕이 나타나면서 그 안에는 음식을 담는 그릇만이 아니라 커다란 저장용기도 함께 나란히 배열하여 제사를 지낼 수 있게 되었다.
삼국시대에 접어들면 매장의례가 더욱 복잡해지면서 슬롯 꽁 머니와 관련된 제사행위도 다양화된다. 물론 신라와 가야지역의 대형고분에는 부장된 슬롯 꽁 머니의 수량도 엄청나서 황남대총(皇南大塚) 남분과 같은 경우 3천여 점의 슬롯 꽁 머니를 무덤 제사에 소비하였다. 으뜸덧널〔主槨〕과 딸린덧널에 나누어 수십 종의 슬롯 꽁 머니를 대량으로 부장하였으며 고분을 축조하는 각 단계에서 슬롯 꽁 머니를 사용한 제의를 올렸다. 매장시설을 밀봉할 때나 봉분의 성토를 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고분을 완성하고 난 후에도 슬롯 꽁 머니를 이용한 제사가 있었다. 특히 봉분 주위에 주구(周溝)나 작은 구덩이를 파고 제의에 사용한 슬롯 꽁 머니를 묻는 방식의 제의 흔적은 신라와 가야지역의 고분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다.
원삼국·삼국시대에는 무덤에서 지내는 제사만이 아니라 다양한 성격의 제사유적에서 제의에 사용된 슬롯 꽁 머니가 발견된다. 웅진시기 백제 왕실의 빈전(殯殿)이었던 정지산유적이나 항해의 안전, 혹은 풍어를 빌었던 부안 죽막동유적과 강릉 강문동유적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제사슬롯 꽁 머니가 출토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