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각장 ()

목차
관련 정보
화각함
화각함
공예
개념
쇠뿔을 얇게 펴서 채색 그림을 그린 후, 이를 목물 위에 붙여 장식하는 각질공예에 종사하는 장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쇠뿔을 얇게 펴서 채색 그림을 그린 후, 이를 목물 위에 붙여 장식하는 각질공예에 종사하는 장인.
내용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그 제품은 바카라 토토 사이트(畵角) · 바카라 토토 사이트(畵刻) · 바카라 토토 사이트(花角) · 바카라 토토 사이트(火角)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바카라 토토 사이트(華角), 일본에서는 바카라 토토 사이트(畫角)이라 한다.

조선시대의카지노리거ACBD;카지노리거ACF5;카지노리거C7A5;이나토토 씨벳C678;토토 씨벳ACF5;토토 씨벳C7A5;에 바카라 토토 사이트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록으로는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BE59;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D5C8;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AC01; 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774;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528;(憑虛閣 李氏, 1759∼1824)의바카라 게임 사이트ADDC「동국팔도소산」 중 「전주 바카라 토토 사이트기」가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예이다.

바카라 토토 사이트은 백골(白骨)을 만드는슬롯사이트 지니C18C;슬롯사이트 지니BAA9;슬롯사이트 지니C7A5;일, 쇠뿔을 펴서 얇게 만드는 각질장 일, 뿔편위에 그림을 그리는 화공(畵工)일 등 크게 3가지 공정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그림은 화공이 그려준 화제(畵題)를 보고 각질공이 다시 그리거나 각질공의 의도대로 그리므로 바카라 토토 사이트에 나타난 그림들은 세련된 필치가 아닌 치기 어린 민화적 특징을 나타낸다. 바카라 토토 사이트을 붙이지 않는 곳에는 칠을 입히고 기능상 필요한 곳에는 금속장식을 대는 등의 여러 공정을 거쳐 완성한다.

바카라 토토 사이트에는 통이 굵고 뿔이 위로 곧게 뻗은 숫소의 뿔인 고추뿔을 사용한다. 그중에서도 두살정도의 쇠뿔은 매우 맑고 투명하여 채색이 잘 나타나며, 늙은 쇠뿔은 각질 내에 검은 미역줄기 같은 심대가 진하게 박혀 있어 투명도가 선명하지 못하다. 어린 쇠뿔은 흰색의 반점이 있어 바카라 토토 사이트재로 사용하지 않는다.

제품으로는토토 사이트 바카라C790; · 샌즈 카지노 사이트 실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 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지그릇 ·무료 바카라 게임ACBD;무료 바카라 게임B300;· 베갯모 · 패물함과 소형 장 등 여성용 기물이 있다. 설채한 그림 내용은코인 카지노 사이트C2ED;코인 카지노 사이트C7A5;코인 카지노 사이트C0DD;· 풍속도(風俗圖) · 기명절지(器皿折枝) ·바카라 드래곤 판다C2E0;바카라 드래곤 판다C120;바카라 드래곤 판다B3C4;· 몽유도(夢遊圖) · 동유도(童遊圖) · 화조도(花鳥圖) · 금수도(禽獸圖) · 수복강녕문(壽福康寧文) 등으로서 적(赤) · 청(靑) · 황(黃) · 녹(綠) · 백색(白色)의 진채안료를 사용한다.

바카라 토토 사이트은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세계 유일의 공예분야로서 1910년대에 양화도(楊花渡 : 서울 망원동)에는 60여 호의 바카라 토토 사이트공방이 있었다. 1920년대에 음일천(陰一天, 1908∼1973)이 그곳에서 바카라 토토 사이트을 시작하였고, 1960년대에 음일천에게서 바카라 토토 사이트일을 배운 이재만(李在萬)이 1996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바카라 토토 사이트장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규합총서(閨閤叢書)』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바카라 토토 사이트장(華角匠)-』(문화재관리국 1973)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