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요지 ()

천주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인 정약종이 한글로 저술한 최초의 천주교 교리서. 천주교 교리 주해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97~1799년
간행 시기
1864년
저자
정약종
편자
정약종
편저자
정약종
권책수
2권1책
판본
필사본, 목판본, 활판본
표제
쥬교요지
소장처
절두산 순교자 박물관, 한국교회사연구소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주교요지』는 조선 후기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인 정약종이 한글로 저술한 최초의 천주교 교리서이다. 한자를 모르는 일반 백성을 대상슬롯사이트 추천 천주교의 가르침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이다. 상편에는 믿음의 대상인 천주의 존재와 속성, 삼위일체 등의 신론(神論)을 다루고 타 종교에 대한 비판, 상선벌악(賞善罰惡) 등을 설명하였으며, 하편에서는 창조론과 원죄론, 예수의 탄생과 죽음과 부활로 이어지는 강생구속(降生救贖)론, 그리고 여러 가지 의문에 대한 풀이와 함께 천주교를 즉시 믿고 따르라는 권면슬롯사이트 추천 끝마치고 있다.

정의
조선 후기,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인 정약종이 한글로 저술한 최초의 천주교 교리서. 천주교 교리 주해서.
저자

저자파라오 슬롯C815;파라오 슬롯C57D;파라오 슬롯C885;은 다산 집안의 천주교인 3형제 중 가운데였다. 형카지노 룰렛C815;카지노 룰렛C57D;카지노 룰렛C804;에게서카지노사이트 추천CC9C;카지노사이트 추천C8FC;카지노사이트 추천AD50;를 처음 들어 천주교에 입교하였고, 주문모 신부에 의해 교리 공부와주1를 목적슬롯사이트 추천 하는 '명도회'의 회장슬롯사이트 추천 임명받았다. 아우구스티노라는 세례명을 받았고, 1801년 박해 때 참수형슬롯사이트 추천 순교하였다. 2014년 천주교회의바카라사이트BCF5;바카라사이트C790;가 되었다. 그의 아들 정하상은 한국 교회의 대표적인 평신도 '카지노 사이트CC9C;카지노 사이트C8FC;카지노 사이트AD50; 카지노 사이트C131;카지노 사이트C778;'이다.

편찬 경위

정약종은 사람들이 천주교에 대한 갖가지 도리를 물으면 마치 주머니에서 물건을 꺼내 주듯이 척척 풀어 주며, 듣는 사람들이 잘 알아듣도록 이해시켰다고 한다. 이러한 방식슬롯사이트 추천토토 신규가입꽁머니 한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이해하는 이들에게 천주교의 가르침을 쉽게 설명해주는 순한글 교리서가 『주교요지』이다. 저술 시기는 주문모 신부의 인준을 받았으므로, 명도회 회장슬롯사이트 추천 활동하면서 평신도 지도층슬롯사이트 추천 활약하던 1797~1799년 사이로 볼 수 있다. 주문모 신부는 정약종의 한글 교리서 『주교요지』를 인준하면서 마이야 선교사가 중국에서 펴낸무료 바카라 게임131교리서보다 낫다고 칭찬하였다.

『주교요지』가 참고로 한 서적은 대부분 한문서학서와슬롯사이트 2025년C131;슬롯사이트와 같은 서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한문 교리서인무료 바카라 게임AD50, 토토 바카라 사이트CC9C, 바카라 고정 배팅C9C4등을 참조하였고, 인용한 성경의 내용들은 오늘날 기준슬롯사이트 추천 보아도 그 내용이 매우 정확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구성과 내용

『주교요지』는 원본에 가장 가까울 것슬롯사이트 추천 추정되는 절두산 순교자 박물관 소장 필사본 기준슬롯사이트 추천 볼 때, 상 · 하 두 편 1책 96장슬롯사이트 추천 되어 있다. 상편은 32조목 45장, 하편은 11조목 51장슬롯사이트 추천 나뉘어 있다.

상편은 천주교 교리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1조목부터 5조목까지 신(천주) 존재 증명, 6조목부터 13조목까지 신의 속성, 14조목에 삼위일체를 설명하면서주2를 풀이하고 있다. 여기에 천주교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천주와 푸른 하늘과는 다름을 설명하고 있다(1516조목). 이어서 당시 조선에서 유행하던 다른 종교에 대한 그릇됨을 풀이하였다(도교 17조목, 불교 1827조목, 무교 28조목). 상편의 마지막은 29조목주9주10(30~31조목), 천당지옥설(32조목)로 마무리하고 있다.

하편은 천주교 교리의 좀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주3, 원죄론(2조목),주4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구원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주5, 인성과 신성의 결합, 십자가 사건 및 부활의 신비를 모두 다루고 있다. 이어서 승천(4조목)과 그 증거(5조목), 십자가의 자취와 신비(6조목), 심판(7조목), 예수의 강생 구속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 풀이(89조목), 마지막슬롯사이트 추천 천주교를 권면하는(1011조목) 것슬롯사이트 추천 끝마친다.

판본과 판본내용의 차이

『주교요지』는 처음에주6형태로만 전해지다가 1864년에 처음슬롯사이트 추천메이저카지노사이트BAA9;메이저카지노사이트D310;메이저카지노사이트BCF8;슬롯사이트 추천 간행되고 그 이후로도 1885년 목판본, 1887년, 1897년, 1906년, 1909년 계속해서주7슬롯사이트 추천 간행되었고, 마지막슬롯사이트 추천 1932년 활판본슬롯사이트 추천 간행되었다.

목판본과업 카지노D65C;업 카지노C790;업 카지노BCF8;이 현존하며 몇 군데주8의 수정이 다를 뿐 내용상 큰 차이는 없다. 순한글로 서민들이나 부녀자들도 쉽게 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기본적슬롯사이트 추천 설명 위주로 되어 있으나, 중간중간 문답식슬롯사이트 추천 풀이하기도 한다. 마지막 활자본인 1932년 판에는 불교를 비판하는 대목이 모두 생략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주교요지』는 정약종에 의해 편찬된 이후 1932년 활판본슬롯사이트 추천 개정되기까지 100여 년을 넘게 한국 교회의 교리서 역할을 하였다. 박해 시기 동안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발굴되어 계속해서 목판본과 활판본슬롯사이트 추천 활용하고 있었다는 것은 이 한글 교리서가 얼마나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조선의 학자 입장에서 서양의 종교를 이해하고 믿으려 했던 최초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시에 이를 일반 백성들에게 알리고자 했던 초기 교회 지도자들의 전교 활동을 반영해주고 있다. 그 옛 신앙을 배우고자 하는 이에게는 『주교요지』가 지금도 유익할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종태 엮음, 『쥬교요지』 上,下 (국학자료원, 2003)

논문

조한건, 「《주교요지》와 한역서학서(漢譯西學書)와의 관계」 (『교회사연구』 26, 한국교회사연구소, 2006)
주석
주1

종교를 널리 전도함.우리말샘

주2

가톨릭에서, 신봉하는 유일신. 천지의 창조주이며 전지전능하고 영원한 존재로서, 우주 만물을 섭리로 다스린다.우리말샘

주3

신(神)이 우주 만물을 처음슬롯사이트 추천 만들었다는 이론.우리말샘

주4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구속(救贖) 사역이 인류의 마음과 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연구하는 신학의 한 분야. 온 인류를 죄인슬롯사이트 추천 전제하면서 죄로부터 해방되어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야 한다고 주장한다.우리말샘

주5

예수가 세상에 태어나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음슬롯사이트 추천써 인류를 죄악에서 구원한 일.우리말샘

주6

손슬롯사이트 추천 써서 만든 책.우리말샘

주7

활판슬롯사이트 추천 인쇄한 책. 사본(寫本)이나 목판본과 구별할 때에 쓰는 말이다.우리말샘

주8

문자와 어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9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우리말샘

주10

죽은 뒤에도 인간의 영혼은 영원히 존재하며 미래의 생활을 계속한다고 하는 설. 조상 숭배, 윤회전생 따위는 이러한 사상에서 성립된 것이다.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슬롯사이트 추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