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가 ()

악장가사 / 신도가
악장가사 / 신도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초기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무료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초기에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구성 및 형식

가사는바카라 두바이C545;바카라 두바이C7A5;바카라 두바이AC00;바카라 두바이C0AC;에 실려 있다. 창작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한양으로 천도한카지노 꽁 머니D0DC;카지노 꽁 머니C870;2년(1393)에서 태조 3년 사이로 추정된다.

내용

내용은 신도읍(漢陽)의 형승(形勝)과 그 미성(美盛)함을 노래하고,조선태조의 성수(聖壽) 만년을 빈 것이다. 형식은토토 롤링ACE0;토토 롤링B824;토토 롤링AC00;토토 롤링C694;와 비슷한 3음보격으로 되어 있다. 전대절(前大節)과 후소절(後小節)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아으 다롱다리’라는 여음이 전후절을 구분해 주는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작품은 “녜ᄂᆞᆫ 양쥬/ᄭᅩ올히여/디위예 신도형승 이샷다/ᄀᆡ국 셩왕이/셩ᄃᆡ를 니르어 샷다/잣다온뎌 당금경 잣다온뎌/셩슈 만년ᄒᆞ샤/만민의 함락 이샷다/아으 다롱다리/알○ 한강슈여/뒤흔 삼각산 이여/덕듕하신 강산 즈으메/만세를 누리쇼셔”와 같이 행 구분과 음보 구분이 가능하다.

그런데 제1행의 끝구인 ‘ᄭᅩ올히여’를 ‘ᄭᅩ올히’로 끝맺고 ‘여’자(字)는 다음 어구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즉 ‘여’를 ‘디위예’로 붙여 세 번째 어구를 ‘여디위예’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바카라사이트ACE0;바카라사이트B824;바카라사이트C0AC;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 중에 「양주곡(楊州曲)」이 나오는데,슬롯 무료 사이트C2E0;슬롯 무료 사이트B3C4;슬롯 무료 사이트AC00;의 시형이 여요형(麗謠形)이면서 가사 가운데 “잣다온뎌 당금경 잣다온뎌”와 “아으 다롱다리”를 삽입한 것으로 보아 「양주곡」의 악곡에 맞추어 지었을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신도가」는 순우리말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가요의 형식을 취하면서 조선 초기의 시가에 흔히 쓰이는 ‘∼이샷다’ · ‘∼이여’ · ‘∼ㄴ뎌’ · ‘∼쇼셔’ 등의 감탄어구를 지닌 대표적인 송도가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천도 직후에 지어진 것인 만큼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지 못하고, 천도의 벅찬 기쁨을 직설적이고 포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신도읍 한양의 경개(景槪)는 1398년에바카라 토토 사이트C815;바카라 토토 사이트B3C4;바카라 토토 사이트C804;이 지은 「신도팔경시(新都八景詩)」에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잘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조실록(正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삼봉집(三峯集)』
『악장가사(樂章歌詞)』
『정삼봉문학연구(鄭三峯文學硏究)』(김문기, 유인본, 1973)
『이조시대(李朝時代)의 가요연구(歌謠硏究)』(김사엽, 학원사, 196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무료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무료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무료 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