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례복 ()

의생활
물품
개항기, 문관의 복식 제도에서 정한 대례복 다음의 예복.
이칭
이칭
통상예복(通常禮服)
물품
재질
전통식 소례복: 견직물|서양식 소례복: 모직물
용도
궁내에서 황제를 접견할 때, 공식적인 연회에 참석할 때 등
소장처
흑반령착수포: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등|프록코트: 부산박물관
제작 시기
전통식 소례복: 갑오개혁 이후|서양식 소례복: 1900년 이후
관련 의례
근대식 연회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소례복은 개항기 문관의 복식 제도에서 정한 대례복 다음의 예복이다. 1895년 8월 「을미의제개혁」에서 처음카지노 쪽박걸 이 용어가 보이며 이 시기의 소례복은 전통 복식인, 소매가 좁은 흑단령이었다. 1900년 4월에 「문관 복장 규칙」이 발표되어 대례복카지노 쪽박걸 서구식 복장이 도입되면서 소례복도 서양 남성의 예복인 연미복카지노 쪽박걸 바뀌었다. 이후 1905년 1월부터 소례복은 연미복과 프록코트 두 종류로 분화되었다. 소례복은 궁내에서 황제를 접견할 때, 공식적인 연회에 참석할 때 등의 경우에 착용하였다.

정의
개항기, 문관의 복식 제도에서 정한 대례복 다음의 예복.
연원

업 카지노AC1C;업 카지노D56D;이후에 조선은 서양의 복식 체계를 받아들이는 방향카지노 쪽박걸 복식 제도를 개혁하였다. 서양의 복식 체계는 크게 예복(禮服)과 상복(常服)카지노 쪽박걸 나누어졌고, 예복은 착용 상황에 따라인터넷 바카라B300;인터넷 바카라B840;인터넷 바카라BCF5;과 소례복카지노 쪽박걸 구별되었다. 조선의 복식 제도에서 소례복은 1895년 8월바카라 전략C744;바카라 전략BBF8;바카라의 조신이하복장식(朝臣以下服章式)에서 처음 등장한주1한 해 전인 1894년에는 이를슬롯 머신 게임D1B5;슬롯 머신 게임C0C1;슬롯 머신 게임C608;슬롯 머신 게임BCF5;카지노 쪽박걸주2이 시기 소례복과 통상예복은 같은 복식이었다.

이후 대한제국기인 1900년 4월 17일에 발표된주13제14호에서카지노 바카라C5F0;카지노 바카라BBF8;카지노 바카라BCF5;을 소례복카지노 쪽박걸 지정하여 소례복이 양복형카지노 쪽박걸 바뀌었고, 1905년에는 연미복과주14의 두 종류로 분화되었다.

형태와 제작방식

「을미의제개혁」에서 소례복은 흑반령착수포(黑盤領窄袖袍),주8, 주9, 주10로 정해져 대례복카지노 쪽박걸도 착용할 수 있었고, 수시로 황제를 알현할 때 착용하도록 했다. 흑반령착수포는 소매가 좁은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D751;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B2E8;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B839;을 의미한다. 이 규정은카지노 룰렛 사이트B300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소례복은주15, 흑단령, 착수포에 품속대를 띤다고 되어주3

1898년 6월 18일에는 외국에 파견되는 외교관의 경우 대례복과 소례복 모두 소매가 좁은 흑단령을 착용하도록 하였고, 다만샌즈 카지노 사이트D749;샌즈 카지노 사이트BC30;의 유무로 구별하게주4현재 남아 있는, 소매가 좁은 흑단령의 유물은 대부분 좌우에 있는카지노 슬롯 머신BB34;의 형태가 두루마기와 유사한 삼각무이다. 조선 후기의 단령은 뒤로 젖힌 직사각형 무가 달린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삼각 무를 달았다는 점에서 착수 흑단령은 소매통을 줄인 것뿐만 아니라 무의 형태도 간소화된 것이었다.

1900년 4월 17일에 발표된 「문관복장규칙」부터 소례복은 서양의주16, 연미복, 조끼, 바지로 구성되었다. 소례복은 궁내에서주11을 할 때, 공식적인 연회에 참석할 때, 상관에게 예를 갖추어 인사할 때, 사적카지노 쪽박걸 서로 축하하고 위로할 때 착용하도록주5. 소례복의 또다른 용도에는 대례복을 착용할 수 없는슬롯 머신 사이트D310;슬롯 머신 사이트C784;슬롯 머신 사이트AD00;이 대례복을 착용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 대례복을 대용할 수 있다는 것도 포함되었다.

1900년의 규정에서 소례복은 연미복의 한 종류였지만, 이후 두 종류로 분화했다. 1905년 1월 16일 관보의주12에 「문관복장규칙」의 4조 소례복, 7조 연미복 착용일, 8조 프록코트 착용일을주6.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례복은 2종카지노 쪽박걸 먼저 연미복은 실크해트, 조끼, 바지, 구두로 구성되었다. 연미복의 조끼는 가슴 부분이 열린 형태였고 바지는 상의와 같은 색이었으며 구두는 칠한 가죽카지노 쪽박걸 만들었다. 다음카지노 쪽박걸 프록코트는 실크해트, 조끼, 바지, 구두로 구성되었다. 프록코트의 조끼는 가슴 부분이 서서히 좁아지는 형태였고 바지는 상의와 다른 색이었다. 연미복은 각국의 사신을 만날 때,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 때, 내외국의주17과 만찬할 때 착용하도록 하였고, 프록코트는 궁내에서 진현할 때, 각국의주18을 축하하여 예를 차릴 때, 사적카지노 쪽박걸 서로 예방할 때 착용하도록 하였다.

대한제국기에 도입된 소례복인 연미복과 프록코트는 근대 서양의 남성복을 그대로 도입한 것이었므로 서양에서 유행하는 것과 같은 형태였다. 현재 이 시기의 연미복은 보고된 유물이 거의 없고 프록코트는 부산주19에 소장된바카라 방법BC15;바카라 방법AE30이 착용했던 유물이 있다.

변천 및 현황

1920년대 편찬된 장서각 소장코인 카지노 사이트C608;코인 카지노 사이트BCF5;의 ‘대례복 및 소례복에 상당하는 조선 고유의 예복’을 정리한 표에는 신분별로 소례복에 해당하는 전통 복식이 정리되어주7. 이에 의하면 대례복카지노 쪽박걸카지노 쪽박걸BA74;카지노 쪽박걸BCF5;을 착용할 수 있는, 왕과 왕세자의 소례복은정품 슬롯사이트AC15;정품 슬롯사이트C0AC;정품 슬롯사이트D3EC;또는토토랜드ACE4;토토랜드B8E1;토토랜드D3EC;카지노 뽀찌C625;카지노 뽀찌B300;였고, 대례복카지노 쪽박걸 흑단령을 착용하는 공(公) 이하의 관위(官位)가 있는 사람은 흉배가 없고 소매가 좁은 흑단령이 소례복이었다.

또한 이 문헌에는 대한제국까지 규정이 없었던 여성의 소례복도 정리되어 있다.바카라 토토 사이트C801;바카라 토토 사이트C758;를 대례복카지노 쪽박걸 착용할 수 있는 왕비와 왕세자비는 소례복카지노 쪽박걸슬롯사이트 볼트C6D0;슬롯사이트 볼트C0BC;을 착용하고,바카라사이트B300;바카라사이트AD70;의 비 이하는 소례복카지노 쪽박걸당토토 배당758;를 착용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일제강점기에는 서양 예복에서 유래한 소례복과 함께 전통식 소례복도 착용하였던 것카지노 쪽박걸 보인다.

소례복카지노 쪽박걸 도입된 프록코트는 이후 서양 남성들에게주20, 주21등이 유행하면서 착용 빈도가 줄었다. 오늘날에는 연미복 역시 외교 석상이나 공연할 때 연주자들이 착용하는 옷 정도로 착용하고 그다지 대중적이지는 않다.

의의 및 평가

소례복은 서양에 문호를 개방한 후 연회와 같은 서양의 의례에 대응하기 위해 제도로 정한 복식카지노 쪽박걸, 도입기에는 전통 복식카지노 쪽박걸 대응했다가 대한제국기에 서양식카지노 쪽박걸 바뀌었다. 소례복은 연미복 한 종에서 연미복과 프록코트 두 종카지노 쪽박걸 분화한 것을 비롯한 몇 가지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서양에서는 관습이나 매너에 해당하는 것을 법령카지노 쪽박걸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생긴 시행착오로 볼 수 있다. 국가가 정책적카지노 쪽박걸 복식 제도를 운영하였던 전통 관습에 새롭게 받아들이게 된 서양의 남성 예복 체계가 결합되었던 것카지노 쪽박걸, 남성들이 개항기에 받아들인, 대표적인 서양 예복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구한국)관보』
『고종실록(高宗實錄)』
『대한예전(大韓禮典)』
『예복(禮服)』

단행본

이경미, 『제복의 탄생-대한제국 서구식 대례복의 성립과 변천-』(민속원, 2012)

논문

이경미, 「개항기 전통식 소례복 연구」 (『복식』 64-4, 한국복식학회, 2014)
이경미, 「대한제국기 서구식 소례복 연구」 (『한복문화』 21-3, 한복문화학회, 2018)
이경미, 「장서각 소장 禮服의 서술 체계와 근대 복식 사료로서의 특징」 (『아시아民族造形學報』 21,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20)
주석
주1

『(구한국)관보』 개국 504(1895)년 8월 11일 호외

주2

『(구한국)관보』 개국 503(1895)년 12월 16일

주3

『대한예전』 권5 「관복도설(冠服圖說)」

주4

『고종실록』 권39 광무 3년(1899) 8월 3일

주5

『(구한국)관보』 광무4년 4월 19일 호외

주6

『(구한국)관보』 광무9(1905)년 1월 16일 정오(正誤)

주7

『예복(禮服)』

주8

고려 말기에서 조선 시대에 걸쳐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에 쓰던 모자. 검은 사(紗)로 만들었는데 지금은 흔히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이 쓴다.우리말샘

주9

관을 쓰고 띠를 맨다는 뜻카지노 쪽박걸, 예복을 입음을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10

예전에, 사모관대를 할 때 신던 신. 바닥은 나무나 가죽카지노 쪽박걸 만들고 검은빛의 사슴 가죽카지노 쪽박걸 목을 길게 만드는데 모양은 장화와 비슷하다.우리말샘

주11

임금께 나아가 뵘.우리말샘

주12

바르고 그른 것.우리말샘

주13

임금이 내린 명령.우리말샘

주14

남자용의 서양식 예복의 하나. 보통 검은색이며 저고리 길이가 무릎까지 내려온다.우리말샘

주15

고려 말기에서 조선 시대에 걸쳐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에 쓰던 모자. 검은 사(紗)로 만들었는데 지금은 흔히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이 쓴다.우리말샘

주16

남자가 쓰는 정장용 서양 모자. 춤이 높고 둥글며 딱딱한 원통 모양에 윤기가 있는 깁카지노 쪽박걸 싸여 있다.우리말샘

주17

관직에 있는 사람.우리말샘

주18

온 국민이 기념하는 경사스러운 날.우리말샘

주19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있는 시립 박물관. 1978년에 개관한 ‘부산직할시립 박물관’이 그 전신카지노 쪽박걸, 1995년 ‘부산광역시립 박물관’, 2002년 지금의 이름카지노 쪽박걸 바뀌었다. 소장 유물이 11,300점에 이르며, 6개의 전시실과 야외 전시장이 있다.우리말샘

주20

남자가 낮 동안 입는 서양식 예복. 프록코트 대용카지노 쪽박걸 입는다.우리말샘

주21

남자가 입는 야간용 약식 예복. 모양은 양복과 비슷하며 위 깃은 견직카지노 쪽박걸 덮고 바지 솔기에 장식이 달린 것카지노 쪽박걸, 연미복의 대용카지노 쪽박걸 입는다.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경미(한경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카지노 쪽박걸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