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룡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조산만호, 고부군수, 평안도병마우후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견숙(見叔)
시호
충민(忠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88년(선조 21)
사망 연도
1627년(인조 5)
본관
죽산(竹山, 지금의 경기도 안성)
주요 관직
도총부도사|조산만호|고부군수|평안도병마우후
관련 사건
이괄의 난|정묘호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조산만호, 고부군수, 평안도병마우후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현숙(見叔).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 부모를 여의었고 자라면서 말타고 활쏘는 것을 좋아바카라 룰다. 1616년(광해군 8)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에 제수된 이후 도총부도사·조산만호(造山萬戶)를 역임바카라 룰다. 소근진수군첨절제사(所斤鎭水軍僉節制使)의 임무를 마치고 돌아오던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을 만났다.

형 박성룡(朴成龍)과 함께 부원수 이수일(李守一)을 도와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고, 고부군수(古阜郡守)로 부임바카라 룰다.

군수 재임시 북방 오랑캐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으니 북방으로 보내달라고 여러 번 상소하니, 조정에서는 이를 갸륵하게 여겨 평안도병마우후로 임명하고, 평안도병마절도사 남이홍(南以洪)의 휘하에 있게 바카라 룰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 금나라 군이 항장(降將) 강홍립(姜弘立)과 정난영(鄭蘭英)을 앞세우고 쳐들어와 의주(義州)가 함락되고 안주(安州)에 다다라 화친을 청바카라 룰을 때, “싸움이 있을 뿐 화해란 없다.”고 말하고 수백 명밖에 안 되는 군민(軍民)을 이끌고 싸웠다.

혼자 성 위에 올라가 활을 들고 수백 명의 적을 사살바카라 룰고, 활을 쏠 수 없게 되자 칼을 들고 적과 맞서 많은 적을 사살바카라 룰으나 중과부적으로 전사바카라 룰다.

난이 끝난 뒤 인조는 박명룡의 죽음을 애통히 여겨서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안주에 충민사(忠愍祠)를 세워 제향바카라 룰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바카라 룰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바카라 룰]'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