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계집 ()

목차
관련 정보
금계집
금계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황준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8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슬롯 꽁 머니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황준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내집 5권, 외집 9권, 합 14권 5책. 목판본. 내집은 1584년(선조 17) 동생 수량(秀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이산해(李山海)와 이광정(李光庭)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에 있다.

내집은 권1∼3에 시 235수, 권4·5에 잡저 17편, 발 1편, 행장·제문 각 1편, 외집은 권 1∼6에 시 562수, 권7·8에 소 2편, 전 3편, 서(書) 19편, 잡저 26편, 제문 2편, 묘지명 2편, 대책 2편, 권9는 부록으로 행장 1편, 제문 5편, 반사 2수, 기문 2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집은 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산해는 발문에서 그의 시는 성정(性情)에 근본을 두고 음률에 맞아 형식과 슬롯 꽁 머니의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뜻이 심원하다고 평하였다. 서(書)는 스승인 이황(李滉)에게 보낸 것이 많으며, 대부분 유학·교육·학문 등에 관한 단편적인 의견들을 제시하고 있다.

내집의 「청혁양종소(請革兩宗疏)」는 문정왕후가 수렴청정하면서 보우(普雨)를 등용해 불교의 부흥을 꾀하고, 선종과 교종을 부활시켜 승과(僧科)를 시행하는 데 이르자, 그에 반대하는 슬롯 꽁 머니의 상소문이다. 「여녹봉정사제생서(餘鹿峰精舍諸生書)」는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 권면하는 슬롯 꽁 머니이다. 이밖에 상산사호(商山四皓)의 실존여부를 논변한 「사호유무변(四晧有無辨)」이 있다.

외집의 「단양진폐소(丹陽陳弊疏)」는 단양군수로 있을 때 군민의 실정을 보고한 것으로, 단양은 본래 원주의 속현인데 적을 잘 막아서 군으로 승격이 되었으나, 40호 밖에 되지 않으므로 부역과 세금을 경감해줄 것을 청한 슬롯 꽁 머니이다. 「답퇴계선생논사칠변서(答退溪先生論四七辨書)」는 이황의 사칠논변 가운데 의문이 나는 곳을 지적, 논변한 것이다.

그밖에 형(刑), 인정(仁政), 군자의 학문 등을 논한 「책문(策問)」, 정전법(井田法)에 대해 의견을 피력한 「균전의(均田議)」, 『동국통감강목』을 찬진(撰進: 임금에게 책을 만들어 바침)하면서 그 슬롯 꽁 머니을 설명한 「예조청찬동국통감강목전(禮曹請撰東國通鑑綱目箋)」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슬롯 꽁 머니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슬롯 꽁 머니,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슬롯 꽁 머니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