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릉 ()

조선시토토사이트추천;사
유적
국가유산
조선 8토토사이트추천; 예종의 왕후인 장순왕후 청주한씨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장순왕후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파주 삼릉(坡州 三陵)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기 파주시 조리읍 삼릉로 89 (봉일천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공릉(恭陵)은 조선 8대 예종의 왕후인 장순왕후 청주한씨의 능이다. 장순왕후가 세자빈 시절 승하해 세자빈묘로 조성되었으며, 석실을 사용하고 난간석과 병풍석은 제작하지 않았다. 공릉으로 봉릉된 뒤에도 추가로 석물을 제작하지 않아 15세기 세자빈묘의 체제를 잘 유지하고 있다. 공릉은 사적으로 지정된 파주 삼릉(坡州 三陵) 중 가장 먼저 조성된 능이다.

정의
조선 8토토사이트추천; 예종의 왕후인 장순왕후 청주한씨의 능.
건립경위

바카라 꽁 머니C7A5;바카라 꽁 머니C21C;바카라 꽁 머니C655;바카라 꽁 머니D6C4;는 1460년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며, 이듬해인 1461년 11월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고 12월 산후병으로 승하하였다. 이때 장순(章順)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상장(喪葬)은 현덕빈(顯德嬪,카지노사이트BB38;카지노사이트C885;바카라 딜러D604;바카라 딜러B355;바카라 딜러C655;바카라 딜러D6C4;)의 예에 의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공릉은 맨 처음 세자빈묘로 조성되었으며,바카라 고정 배팅C138;바카라 고정 배팅C870;의 명으로주1을 사용하고,주2과 난간석은 사용하지 않았다. 파주의 보시동(普施洞) 언덕에 안장하였으며, 현재의 위치이다.슬롯 머신 사이트C131;슬롯 머신 사이트C885;즉위 이듬해인 1470년에 장순빈은 휘인소덕 장순왕후(徽仁昭德 章順王后), 능호는 공릉(恭陵)으로 추숭되었다.

변천

공릉과해외 바카라 사이트ACBD;해외 바카라 사이트B989;은 1470년 함께 봉릉(封陵)되었는데, 세조 비토토사이트C815;토토사이트D76C;토토사이트C655;토토사이트D6C4;가 “능(陵) 위에는 마땅히 의물(儀物)을 갖추어야 할 것인데, 다만 생각하건대,주3는 고요한 것을 숭상한다. 두 능(陵)은 안치(安置)된 지가 이미 오래되었으므로 동요(動搖)시킬 수가 없으니, 그 의상(儀象)의 잡물(雜物)은 가설(加設)하지 말라.”라는 명으로 더 이상의 석물을 추가하지 않았다.

형태와 특징

공릉은 봉분 주변에주4주5이 1쌍씩 배치되어 있으며, 봉분 앞에주6안전한 바카라 사이트C7A5;안전한 바카라 사이트BA85;안전한 바카라 사이트B4F1;, 주7과 마석이 배치되어 있다. 세자묘로 조성된토토 가상계좌 반환B355;토토 가상계좌 반환C885;경릉과 동일하게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덕종 경릉과 장순왕후 공릉은 석물의 수량뿐만 아니라 석실을 사용한 점도 같다.

능강 아래에는주8주9이 있으며, 수라간은 남아 있지 않다. 재실은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D30C;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8FC; 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0BC;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B989;입구에 남아 있으며, 재실 근처에 있던 전사청,주10, 안향청 등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의의 및 평가

공릉은 가장 먼저 세자빈묘로 조성되었으며, 봉릉 뒤 석물이 추가되지 않아 이후 세자빈묘의 전거가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춘관통고(春官通考)』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Ⅱ』(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주석
주1

고분 안의 돌로 된 방.우리말샘

주2

능(陵)을 보호하기 위하여 능의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 겉에 12신(神)이나 꽃무늬 따위를 새긴다.우리말샘

주3

‘귀신’을 높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4

왕릉이나 무덤 앞에 세워 놓은, 돌로 만든 양 모양의 조각물.우리말샘

주5

왕릉이나 큰 무덤 주위에 돌로 만들어 세운 호랑이.우리말샘

주6

넋이 나와 놀도록 한 돌이라는 뜻으로, 상석(床石)과 무덤 사이에 놓는 직사각형의 돌을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7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우리말샘

주8

왕릉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봉분 앞에 ‘丁’ 자 모양으로 지은 집.우리말샘

주9

비를 세우고 비바람 따위를 막기 위하여 그 위를 덮어 지은 집.우리말샘

주10

제사 때에 쓰는 그릇, 기구 따위를 넣어 두는 창고.우리말샘

주11

비석의 뒷면에 새긴 글.우리말샘

집필자
김민규(동국토토사이트추천; 강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