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

조선시2025년 슬롯사이트;사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조선 제132025년 슬롯사이트;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쌍릉.
이칭
이칭
태강릉(泰康陵)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쌍릉
건립 시기
1575년(선조 8)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명종|인순왕후
소재지
서울특별시 노원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서울 태릉과 강릉(서울 泰陵과 康陵)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 노원구 화랑로 681 (공릉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강릉(康陵)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조선 제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쌍릉이다. 강릉의 서쪽에는 문종의 어머니 문정왕후의 태릉이 자리 잡고 있어 두 능역을 합하여 태강릉(泰康陵)이라 부르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1966년에 강릉과 태릉 사이에 태릉선수촌이 들어서면서 산릉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나, 2009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에 선수촌을 이전하고 능역을 되살리고 있다.

정의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조선 제132025년 슬롯사이트;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쌍릉.
건립경위

토토 카지노BA85;토토 카지노C885;은 어머니무료 슬롯사이트BB38;무료 슬롯사이트C815;무료 슬롯사이트C655;무료 슬롯사이트D6C4;의 삼년상을 마치고 며칠 지나지 않은 1567년 6월 28일에바카라 드래곤CC3D;바카라 드래곤B355;바카라 드래곤AD81;의 양심합(養心閤)에서 승하하였다. 양주(楊州)에 있는 문정왕후의인터넷 바카라D0DC;인터넷 바카라B989;동쪽에 능역을 조성하고, 능호를 강릉(康陵)이라 하였다. 명종의 국장은 9월 22일에 이루어졌다.

1575년(선조 8) 2월에바카라 고정 배팅C778;바카라 고정 배팅C21C;바카라 고정 배팅C655;바카라 고정 배팅D6C4;가 승하하자, 명종의 능침 동쪽에 쌍릉으로 능침을 마련하고, 4월 28일에 장사를 지냈다. 인순왕후를 합부할 때에 가정자각(假丁字閣)을 조성하여 왕후의 상례를 지내고 삼년상을 지낸 후에, 가정자각을 철거하고 명종의 제례를 지내는주1에 합하여 제사 지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가정자각의 제도는 광릉(光陵)에서 정립된 것을 따른 것이다.

변천

1571년(선조 4)에 명종의 삼년상을 막 마쳤을 무렵, 화재가 일어나 정자각이 소실되었다. 재건할 때에 정전 3칸에 좌우 익각을 갖추고 3칸으로 배위청을 형성하여 8칸 규모 정자각으로 건립되었다.바카라 꽁 머니C784;바카라 꽁 머니C9C4;바카라 꽁 머니C65C;바카라 꽁 머니B780;으로 능상에도 불탄 흔적이 남아 있었으며, 정자각은 소실되었다. 1695년(숙종 21)에 중건하였는데, 당시주2 카지노 뽀찌BC15;카지노 뽀찌D0DC;카지노 뽀찌C0C1;이 「중건상량문」을 지었다.

1571년에 정자각을 재건할 때 8칸에주3으로 건립하였으나, 1695년에 중건하면서 정전 좌우 익각을 제거하고 정전 3칸에 배위청 3칸으로 총 6칸으로 건립하였다. 1753년(영조 29)에가상 바카라 · 슬롯 머신 사이트D6A8;슬롯 머신 사이트B989; · 우리 카지노C7A5;우리 카지노B989; · 인터넷 바카라D0DC;인터넷 바카라B989;과 함께 강릉에도 표석을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다.

형태와 특징

강릉의 두 능침은주4으로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었다. 두 능침은주5으로 조성하였으나 봉릉에는주6을 설치하고 난간석으로 연결하였다. 능침의 후면에는주7으로 둘러싸고, 정면에는주8을 각각 설치하였다.

혼유석을 제외한 나머지주9은 모두 합설하여 하나의 능침 제도로 조성하였다. 능 아래 59보 지점에 정자각이 있으며, 남쪽으로 74보 지점에주10이 있다. 정자각의 동쪽에는주11이 있으며, 그 안에주12이 있다. 수라간과 수직방은 소실되었다.

의의 및 평가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120;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989;을 조성하면서 대왕릉에는 병풍석을 두르고 왕후릉에는 난간석만 둘렀으나, 강릉에는 대왕릉과 왕후릉 모두 병풍석을 설치하고 난간석으로 연결하였다. 병풍석과 난간석 및 능상에 세워진 석물의 제도는 『슬롯 꽁 머니AD6D;슬롯 꽁 머니C870;슬롯 꽁 머니C624;슬롯 꽁 머니B840;슬롯 꽁 머니C758;』의 규례에 따르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강릉개수도감의궤(康陵改修都監儀軌)』
『강릉지(康陵誌)』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춘관통고(春官通考)』

단행본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Ⅳ』(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https://royaltombs.cha.go.kr/)
위키실록사전(http://dh.aks.ac.kr/sillokwiki)
주석
주1

왕릉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봉분 앞에 ‘丁’ 자 모양으로 지은 집.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둔 예조의 으뜸 벼슬. 공양왕 원년(1389)에 예의판서를 고친 것으로 정이품 문관의 벼슬이다.우리말샘

주3

위 절반은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고 아래 절반은 네모꼴로 된 지붕.우리말샘

주4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해방(亥方)을 등지고 사방(巳方)을 바라보는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북북서를 등지고 남남동을 바라보는 방향이다.우리말샘

주5

관을 구덩이 속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다짐.우리말샘

주6

능(陵)을 보호하기 위하여 능의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 겉에 12신(神)이나 꽃무늬 따위를 새긴다.우리말샘

주7

능, 원, 묘 따위의 무덤 뒤에 둘러쌓은 나지막한 담.우리말샘

주8

넋이 나와 놀도록 한 돌이라는 뜻으로, 상석(床石)과 무덤 사이에 놓는 직사각형의 돌을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9

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들어 놓은 여러 가지 물건. 석인(石人), 석수(石獸), 석주, 석등, 상석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주10

능(陵), 원(園), 묘(廟), 대궐, 관아(官衙) 따위의 정면에 세우는 붉은 칠을 한 문(門). 둥근기둥 두 개를 세우고 지붕 없이 붉은 살을 세워서 죽 박는다.우리말샘

주11

비를 세우고 비바람 따위를 막기 위하여 그 위를 덮어 지은 집.우리말샘

주12

무덤 앞에 세우는 푯돌. 죽은 사람의 이름, 생년월일, 행적, 묘주 따위를 새긴다.우리말샘

집필자
신지혜(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