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각(天章閣)
고려시대 송제(宋帝)가 내린 친제조서(親製詔書)와 어필(御筆)·서화(書畫) 등을 보관하던 장서각(藏書閣). # 내용
보문각(寶文閣)보다는 약 10개월 뒤인 1117년(예종 12) 6월에 세워진 건물로서, 청연각(淸讌閣)과 보문각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실제로 어떤 기능을 하였는지는 자세한 기록이 없지만, 보문각에서 우리나라 열성의 유물을 간직, 강(講)·저술·수교(讎校)·주해(註解)·자료분송(資料分送)하여 조인(雕印)하고 반사(頒賜)한 데 반하여, 이곳에서는 주로 외교에 필요한 자료를 전시, 모화사상(慕華思想)을 고취시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