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도인침구요결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문헌
조선시대 승려 사암도인이 용약법과 침처방 · 임상례 등을 수록한 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승려 사암도인이 용약법과 침처방 · 임상례 등을 수록한 의서.
개설

『카지노 차무식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은 사암침법(舍巖鍼法)에 관한 책 중에서 가장 최초로 활자화(活字化)되고 역주(譯註)를 달아 출판되었다. 카지노 차무식의 용약법(用藥法)과 침처방(鍼處方), 그리고 임상례들로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카지노 차무식침구요결』은 사암침법을 발굴하여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 책이다. 원저자(原著者)인 카지노 차무식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바카라 꽁 머니C784;바카라 꽁 머니C9C4;바카라 꽁 머니C65C;바카라 꽁 머니B780;때 승병으로 큰 공을 세운카지노 쪽박걸C720;카지노 쪽박걸C815;의 수제자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사암침법이라는 것은 카지노 차무식이 사용한 침법이라 하여 사암침법이라고 하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없어 후대의 사람이 카지노 차무식의 이름을 빌려 쓴 내용이라고 주장하는 설도 널리 퍼져있다.

내용

제1강 실제편(實際編)과 제2강 준비편(準備編)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제편에서는 제1장 중풍문(中風門)을 필두로 하여 제42장 치질문(痔疾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질환을 병인(病因)에 따라 분류하고 겸하여 카지노 차무식법 응용과 한약처방 및 사암의 경험례로 이루어져 있다.

준비편에서는 제1장 사암결(舍巖訣)의 신효(神效)와 그 효험으로 시작하여 제9장 사암오행정리신침가(舍巖五行正理神鍼歌)를 통해 카지노 차무식법의 탁월하고 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처방들을 열거해 소개하고 있다. 또한 제10장 낙랑노부시침가(樂浪老夫施鍼歌)는 침구시술(針灸施術)의 기본원리와 바른 자세까지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지노 차무식법은 12경맥(經脈)의 오수혈(五輸穴)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침법으로 보법(補法)에 해당하는 정격(正格)과 사법(瀉法)에 해당하는 승격(勝格)으로 구성되어 있다. 침의 구성 원리에서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克)의 원리를 이용하여 오수혈의 혈성(穴性)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침법이다.

또한 『난경(難經)』에 나오는 ‘보기모 사기자(補其母 瀉其子)’의 원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더해서 한격(寒格)과 열격(熱格)이라는 경락(經絡)의 한열(寒熱)을 조정하는 카지노 차무식도 있으며, 이외에 구체적인 임상에서 사용된 혈자리가 함께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 한의학의 임상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카지노 차무식침구요결』이 출판된 이후에 사암침법에 대한 여러 가지 책들이 나오게 되었는데 그 종류는 『사암침구정전(舍巖鍼灸正傳)』, 『카지노 차무식침구요결(舍巖道人鍼灸要訣)』, 『사암침법의 체계적 연구』, 『음양오행침구총론(陰陽五行鍼灸總論)』, 『사암침법 임상강좌』, 『교감카지노 차무식침법(校勘舍巖道人鍼法)』, 『교감도해카지노 차무식침법(校勘圖解舍巖道人鍼法)』 등이 있다.

침구학(鍼灸學)에서 한국의 침술은 중국과 구별되어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카지노 차무식침구요결』은 구성이 오행에 맞추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임상례도 다양하여 구체적으로 혈자리를 어떻게 구성하였는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임상서적으로서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카지노 차무식 침구요결』(이태호, 행림출판, 2001)
『동양의학대사전』(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집필자
권건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카지노 차무식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