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대학교 ()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
단체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의 2개 캠퍼스로 구성된 사립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전광역시 중구 용두동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의 2개 캠퍼스로 구성된 사립대학교.
개설

을지재단의 박영하 이사장이 세운 토토 사이트교로, 대전과 성남의 2개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훈은 ‘인간사랑, 생명존중’이다.

설립목적

국민보건 향상과 국사산업발전에 기여하며, 미래의 선진복지사회에서 요구되는 보건의료 전문인력 양성 및 이들 분야의 학문적·기술적 향상을 도모하여 우리나라 최우수 보건의료 특성화 교육기관으로 육성·발전함을 건학이념으로 삼아, 국가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교육하고 연구하며, 봉사하는 차세대 보건의료인의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한다.

연원 및 변천

1967년 4월 초급토토 사이트 과정으로 설립된 서울보건학교는 1970년 2월 서울보건전문학교를 거쳐 1979년 1월 서울보건전문토토 사이트으로 개편되었다. 1983년 2월 을지학원이 설립되면서 학교법인이 구성되었으며, 1990년 1월서울 충무로에 있던 서울보건전문토토 사이트을 경기도 성남시로 이전하였다. 이후 동토토 사이트은 1998년 서울보건토토 사이트으로 변경되었다.

을지학원은 1997년 3월 대전광역시에 을지의과토토 사이트을 개교하였으며, 동토토 사이트은 1999년 10월 을지의과토토 사이트교로 승격되었다. 2006년 서울보건토토 사이트과 을지의과토토 사이트교의 통폐합을 신청하여 승인받음으로써 두 캠퍼스가 하나의 토토 사이트으로 통합되어 2007년 을지토토 사이트교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현황

2010년 현재 대전캠퍼스에는 의과토토 사이트과 간호토토 사이트의 2개 토토 사이트에 의예과, 의학과, 임상병리학과, 의료경영학과, 간호학과 등 5개 학과가 있으며, 성남캠퍼스에는 보건과학토토 사이트, 보건산업토토 사이트, 간호토토 사이트 등 3개 토토 사이트에 19개 학과, 6개 전공이 있다. 그밖에 토토 사이트원 과정으로 일반토토 사이트원과 보건토토 사이트원, 임상간호토토 사이트원 등이 운영되고 있다.

부속 및 부설기관으로는 대전캠퍼스에 학술정보센터, 생활관, 교육개발연구센터, 의과학연구소, 평생교육원과 각종 연구소가 있으며, 성남캠퍼스에는 도서관, 전산성보센터, 범석의학박물관, 학보사, 생활관, 평생교육원, 외국어교육원, 을지인력개발원, 각종연구소 등이 있다. 특히, 성남캠퍼스에는 산학연연구지원센터, 중앙기기센터, 창업보육센터, 교육지원센터, 지역혁신센터, 성장동력사업단, 행정지원실 등의 산학협력단을 운영 중이다.

학생들의 자질향상과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특화교육을 위해 사회봉사, 심폐소생술, 정보처리, 외국어의 4개 분야에서의 자격취득을 졸업요건으로 하여 의예과 및 의학과, 정원외 학생을 제외한 전교생을 대상으로 졸업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성남캠퍼스에는 총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생활관을, 대전캠퍼스에는 총 8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생활관을 각각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행사로 매년 5월 ‘을지종합체육대회’를 개최한다.

의의와 평가

국내 유일의 보건·의료 특성화 종합토토 사이트으로서 자리매김한 을지토토 사이트교는 튼튼한 재단의 뒷받침 아래 을지대 대전캠퍼스, 을지토토 사이트병원, 대덕연구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 등을 하나로 묶는 대전 HT(Health Technology) 클러스터와 을지대 성남캠퍼스와 을지병원, 판교/광교 테크노밸리를 묶는 교육과 산업중심의 성남 HT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차세대 HT 분야를 선도하는 핵심역량토토 사이트으로 성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토토 사이트연감 2009』(한국토토 사이트연감편찬위원회, 2008)
을지토토 사이트교(www.eulji.ac.kr)
한국토토 사이트홍보협의회(www.kupa.org)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