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장 ()

공예
개념
청자를 제작하는 기능 또는 그일에 종사하는 장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청자를 제작하는 기능 또는 그일에 종사하는 장인.
내용

2004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제작 전통을 계승하여 꽁 머니 카지노 3 만를 제작하는 기능이 전해지는 곳은 고려시대 최대 꽁 머니 카지노 3 만 생산단지였던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일대이다. 이곳은 고려 왕실에 자기를 제작하여 공납하던 특수 행정구역인 ‘소(所)’가 있던 지역이었다. 『고려사』에는 왕실에서 사용되는 동(銅), 철(鐵), 자기(瓷器), 종이[紙], 먹[墨] 등 각종 물품을 생산하던 소(所)에 별공물색(別貢物色)을 징수하는 것이 지나쳐서 장인들이 고통스러워 도피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서, 자기소(瓷器所)에서 꽁 머니 카지노 3 만를 제작하던 장인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기록이긴 하지만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대구소(大口所)와 칠량소(七良所) 등이 고려시대에 꽁 머니 카지노 3 만를 제작하던 자기소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일대가 이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이 일대는 고려시대부터 꽁 머니 카지노 3 만를 제작하던 장인들이 거주하였으며, 현재까지도 꽁 머니 카지노 3 만 제작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장은 2004년 2월 13일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꽁 머니 카지노 3 만장 이용희가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았다.

현황

강진 사당리 지역은 1913년에 가마터가 발견된 후에 1963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면서 1973년부터 1977년까지 학술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곳이다. 그 후에 강진군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 재현사업 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꽁 머니 카지노 3 만 재현용 전통가마 ‘강진요’를 축조하고 1978년에 최초로 천연유약의 제조에 성공하여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재현 작업에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후에는 강진군내 강진꽁 머니 카지노 3 만사업소에서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재현과 제작에 관련된 일들을 담당하고 있다.

꽁 머니 카지노 3 만장은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를 재현 · 제작하는 데 필요한 태토(胎土), 그릇 성형(成形), 천연 유약 제조, 번조(燔造) 방법 등의 모든 전통적인 기법과 기술을 연구하여 숙지하고 있는 장인이라 할 수 있다. 기능보유자 이용희는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생산지로 유명한 강진 토박이로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꽁 머니 카지노 3 만 제작의 기능을 잘 연마하여 각종 공예경진대회에서 입상하였고 그 보존과 전승에 전념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의 전통적인 공예품인 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제작 기능이 고려꽁 머니 카지노 3 만의 고장 강진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어 전통문화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고려시대의 자기소와 그 전개」(이희관, 『사학연구』77, 한국사학회, 2005)
집필자
방병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