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시 ()

청시
청시
현대문학
문헌
청색지사에서 김달진이 ‘시인부락’과 ‘시원’ 등의 동인활동을 하면서 지은 시를 편집하여 1940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게임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청색지사에서 김달진이 ‘시인부락’과 ‘시원’ 등의 동인활동을 하면서 지은 시를 편집하여 1940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김달진(1907~1989)은 1929년 4월『조선시단』에「상여 한 채」,「단장일수(短章一首)」를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그는 오장환, 서정주 등과 ‘시인부락’ 동인 활동을 통해 시작활동을 시작했으며『청시』(1940),『올빼미의 노래』(1983),『한 벌 옷에 바리때 하나』(1990)를 간행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시집『청시』는 김달진이 고향에서 교사생활을 하다가 유점사(강원도 고산군 서면 금강산에 있었던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에 들어가 승려의 신분으로 ‘시인부락’과 ‘시원’ 등의 동인활동을 하면서 지은 시들을 모은 것이다.

내용

이 시집에는 1930년대 일제 강점기라는 현실 인식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일상을 시화하거나 은거하면서 산책길이나 고요한 밤에 만나는 내면 성찰의 기록이 대부분이다. 이 기록에는 자아의 완성을 치닫기 위해 몸부림치는 갈등이 차분한 어조로 자연 사물을 빌어 슬픔의 정서로 드러난다. 그의 슬픔의 원인을 해독하는 것이 이 시집의 기호가 된다. 시집『청시』의 세계는 거울을 통해 끊임없이 세계의 본질에 닿으려는 나르시시즘의 시학을 이루고 있다. 이 시집에는 자아성찰의 상관물로서 ‘눈’, ‘샘물’, ‘우물’, ‘거울’, ‘하늘’ 등의 매개물이 많이 등장한다. 시인이 발견하고자 하는 내면의 성숙과정이 이러한 매개물을 통하여 드러나고 그 속에서 한 마리의 벌레가 된 슬픈 자화상과 마주하게 된다.

의의와 평가

이 시집은 사물의 성숙과정을 통해 순간순간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완성을 포착하고 있다는 점에서 내면 탐구에 주력하던 시인의 초기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김달진 시 연구」(송영순, 『돈암어문학』13, 돈암어문학회, 2000)
『김달진 시 전집』(김달진, 문학동네, 1997)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윤여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지노 게임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게임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 게임 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