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좌의병진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896년(고종 33) 1월 강원도 영월에서 일어난 항일의병진.
단체
설립 시기
1896년 1월
설립자
유인석|이춘영|안승우|신지수|김백선 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호좌의병진(湖左義兵陣)은 1896년(고종 33) 1월 강원도 영월토토 커뮤니티 일어난 항일의병진이다. 유인석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고, 중군장 이춘영, 전군장 안승우, 후군장 신지수, 선봉장 김백선 등을 임명하였다. 같은 해 2월부터 10월까지 제천을 거점으로 원주, 영월, 영춘, 단양, 풍기, 충주, 음성 등지토토 커뮤니티 항쟁을 지속하였다.

정의
1896년(고종 33) 1월 강원도 영월에서 일어난 항일의병진.
변천 및 현황

1894년(고종 31)슬롯 꽁 머니AC11;슬롯 꽁 머니C624;슬롯 꽁 머니AC1C;슬롯 꽁 머니D601;이후 각종 제도가 개혁되자, 1895년(고종 32) 5월바카라사이트C720;바카라사이트C778;바카라사이트C11D;은 장담(長潭: 지금의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토토 커뮤니티주1를 행하고, 500∼600명의 유생들에게 국난에 대처할 것을 강론하였다. 이어이 발생하고, 끝내레고카지노B2E8;레고카지노BC1C;레고카지노B839;이 내려지자 각지토토 커뮤니티 의병운동이 전개되었다.

그중 경기도 지평토토 커뮤니티카지노사이트C774;카지노사이트CD98;카지노사이트C601; · 바카라 양방배팅C548;바카라 양방배팅C2B9;바카라 양방배팅C6B0;등이 제천토토 커뮤니티 들어가자,에볼루션 바카라C720;에볼루션 바카라C911;에볼루션 바카라AD50;와 유인석의 문하인바카라보라C774;바카라보라D544;바카라보라D76C; · 슬롯 사이트 주용규(朱庸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바카라C11C;바카라C0C1;바카라B82C;등이 제천의진(堤川義陣)에 들어갔다. 이들은 단양 일대토토 커뮤니티 접전한 뒤 풍기, 영춘을 지나 영월에 들어갔다. 이것은 유인석이 중국에 갈 예정으로주2을 수습하던 중 제천의진의 소식을 접하고 영월토토 커뮤니티 회의할 것을 제의, 소집한 것이다.

여기토토 커뮤니티 유인석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하고, 중군장(中軍將) 이춘영, 전군장(前軍將) 안승우, 후군장(後軍將) 신지수(申芝秀), 선봉장(先鋒將)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AE40;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BC31;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120;, 좌군장(左軍將) 원규상(元奎常), 우군장(右軍將) 안성해(安成海), 참모(參謀) 박주순(朴胄淳),주3장충식(張忠植), 종사(從事) 이조승(李肇承) · 홍선표(洪善杓) · 이기진(李起振) · 정화용(鄭華鎔) 등토토 커뮤니티 부서를 결정하였다.

주요 활동

2월 영월을 떠나 제천에 머물면서 단양군수슬롯 꽁 머니 권축(權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풍군수바카라 배팅11C;바카라 배팅0C1;기를 붙잡아 참형한 뒤, 호서의 중심지인 충주성을 공격 · 함락하여 15일간 관군과 일본군을 맞아 공방전을 전개하였다.

그 동안 호좌의병대장 유인석의 이름토토 커뮤니티주4이란 격문을 발송하고, 적의 근거지인 수안보(水安堡)를 점령하기 위해 몇 차례 전투를 전개하였다. 이때 평민 출신 김백선을 군기 문란의 죄목토토 커뮤니티 처형하는 등 유생 중심의 한계성이 드러났고, 주용규 · 이춘영이 전사하는 등 약세를 면치 못하였다.

3월 초 충주성을 탈출, 청풍을 거쳐 제천으로 후퇴하였다. 5월 하순 제천성이 함락당할 때까지 제천을 거점으로 원주, 영월, 영춘, 단양, 풍기, 충주, 음성 등지토토 커뮤니티 항쟁하였다. 장기렴(張基濂)이 거느리는 관군과의 전투토토 커뮤니티 안승우가 전사하자, 제천성을 탈출하여 단양토토 커뮤니티 군진을 수습하였다.

6월 이후 관군 · 일본군과 항쟁하면서 서북행의 대행군을 감행하였다.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의 용감한 지사들을 규합하여 재기하려는 계획이었다. 8월 하순, 유인석은 평안도 초산(楚山)의 아성(阿城)토토 커뮤니티주5을 남기고 간도 통화현(通化縣)토토 커뮤니티 망명하였다. 국내에 잔류한 의진은 각기 독자적인 의병운동을 전개하여 9∼10월까지 항쟁을 지속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종의록(從義錄)』
『창토토 커뮤니티문록(倡義見聞錄)』

단행본

『의암 유인석 백절불굴의 항일투쟁』(의암학회, 2009)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1-의병항쟁사』(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1)

논문

구완희, 「을미의병기의 호좌의진(湖左義陣)과 충주」(『蘂城文化』 35, 예성문화연구회, 2016)
주석
주1

예전에, 온 고을의 유생(儒生)이 모여 향약(鄕約)을 읽고 술을 마시며 잔치하던 일우리말샘

주2

여행할 때 쓰는 물건과 차림우리말샘

주3

유생을 맞이하는 일을 맡음.

주4

모든 관리들은 친일 행위를 중지하고 의병항쟁을 후원하여 나라의 원수를 갚자는 내용의 글

주5

조정의 관리들에게 나라를 회복하기 위하여 의병을 일으켰음을 밝히는 내용의 글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토토 커뮤니티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