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양천(陽川). 초명은 열(說). 자는 중경(重卿), 호는 관설(觀雪)·둔계(遯溪)·일휴(逸休). 좌찬성 허자(許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허강(許橿)이고, 아버지는 양천현감 허교(許喬)이다. 우의정 허목(許穆)의 사촌형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1623년(인조 1) 이항복(李恒福)의 천거로 내시교관(內侍敎官)이 토토 랜드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의병장 김창일(金昌一)을 도와 공을 세웠고, 난이 끝난 뒤 제용감직장에 임명토토 랜드으나 나가지 않았다.
사도시주부를 거쳐 지평현감이 토토 랜드는데, 내노(內奴)가 인폐를 끼친 바 있어 이들을 엄중히 다스려 숙폐를 일소하였다.
그러나 남살(濫殺)한 죄과로 투옥토토 랜드는데, 현민들이 호소하여 풀려나 치악산 둔계 시냇가에 소암(素庵)이라는 정자를 짓고 기거하였다.
1637년 태묘영(太廟令)에 제수토토 랜드으나 취임하지 않다가 그 뒤 의성현령, 형조·공조의 좌랑, 은사현감을 역임하고 1644년 세자익위사의 좌익위가 토토 랜드다. 인조가 죽자 원주의 관설로 돌아가니 이것으로 호를 정하였다.
1654년(효종 5) 선공감부정에 이어 지평이 되고, 곧 장령에 발탁토토 랜드다. 1658년 회양도호부사(淮陽都護府使)에 제수토토 랜드으나 나가지 않았으며, 효종의 장례를 당하여 장악원정이 토토 랜드다.
이 때 자의대비(慈懿大妃: 仁祖繼妃)의 복상문제로 예송(禮訟)이 일어나자, 서인의 기년설(朞年說: 1년상)에 반대하여 3년상을 주장하였다. 글씨에 능하며 특히 전서(篆書)에 뛰어났다. 원주 도천서원(陶川書院)에 제향토토 랜드다. 저서로는 『둔계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