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시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 중 한성부에서 실시한 시험.
제도/법령·제도
폐지 시기
1894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카지노 민회장(漢城試)는 문과·무과·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初試) 중 한성부에서 시행한 시험이다. 향시 등 다른 초시와 마찬가지로 합격자에게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으며, 시험 날짜나 시험 과목도 동일하였다. 카지노 민회장에는 다른 지역 거주자도 응시할 수 있었다.

정의
조선시대,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의 1차 시험인 초시 중 한성부에서 실시한 시험.
한성시의 설치
선발 인원

카지노 민회장는 향시와 같은 단계의 시험으로 다른 초시와 마찬가지로 합격자에게 복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으며, 시험 날짜와 시험 과목도 같았다. 하지만 도읍(都邑)인 한성부에서 시행하는 시험이라는 특성 때문에 다른 점도 있었다. 우선 향시에는 해당 지역 거주자만 응시할 수 있었으나, 카지노 민회장에는 다른 지역 거주자도 응시할 수 있었다. 도읍(都邑)이라는 특성상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카지노 민회장는 향시에 비해 선발 인원이 많았다.토토 카지노ACBD;토토의 규정을 기준으로 보면 문과는 240명 중 40명, 무과는 190명 중 70명, 생원 · 진사시는 각 700명 중 200명을 카지노 민회장에서 선발하였다. 특히 무과의 선발 비중이 높았는데, 무과는 경기도 향시를 시행하지 않고 카지노 민회장에서 함께 선발하였기 때문이다. 문과와 생원 · 진사시도 임진왜란 후인 1603년(선조 36)에 경기도 향시를 폐지하고 경기도 유생은 카지노 민회장에 응시하게 하였다. 그리고 경기 향시의 선발 인원인 문과 20명, 생원 · 진사시 각 60명을 카지노 민회장에서 선발하도록 하였다. 또 문과는 정조 때부터 초시 중 성균관의 관시(館試)를 폐지하고 그 선발 인원 50명도 카지노 민회장에서 선발하여 카지노 민회장의 선발 인원이 더 늘어났다.

시행

카지노 민회장의 시험장인주2는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 모두 두 곳씩 설치하였다. 시험에 앞서 응시 등록인메이저 바카라B179;메이저 바카라BA85;을 할 때 두 곳의 응시 인원이 비슷하도록 안배하였는데, 무과의 경우 한성부는주4를 기준으로 나누고, 지방 거주자는 도별로 나누어 시험장을 배정하도록 법제화되어 있었다. 카지노 민회장는 중앙 정부에서 직접 관장하였기 때문에 향시와 달리슬롯 머신C2DC;슬롯 머신AD00;도 중앙 정부에서 직접 파견하였다. 과거 시험을 치르는 곳마다 문과와 생원 · 진사시는 3품~6품 사이의 문관 3명, 무과는 2품 이상 관원 1명과 문관 · 무관토토 카지노B2F9;토토 카지노D558;토토 카지노AD00;1명씩을 파견하였다. 또 문과 · 무과 · 생원진사시 모두 시관과 별도로 시험을 감독하는 감시관(監試官)으로슬롯 사이트C0AC;슬롯 사이트D5CC;슬롯 사이트BD80;감찰 1명씩을 파견하였다. 이 때문에 카지노 민회장는 향시에 비해 시험의 관리가 엄격하였다. 식년시나 증광시 외에카지노 슬롯머신 게임BCC4;카지노 슬롯머신 게임C2DC;토토 롤링 디시C815;토토 롤링 디시C2DC;등에서도 초시를 카지노 민회장와 향시로 나누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는 규정을 따로 마련하였다.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성균관 유생만이 볼 수 있는 문과(文科)의 초시(初試). 대과(大科)의 초시는 대개 한성부(漢城府)와 팔도(八道)에서 보았으나, 특별한 경우 성균관의 생원ㆍ진사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우리말샘

주2

과거 시험을 치르던 곳.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성균관 유생만이 볼 수 있는 문과(文科)의 초시(初試). 대과(大科)의 초시는 대개 한성부(漢城府)와 팔도(八道)에서 보았으나, 특별한 경우 성균관의 생원ㆍ진사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우리말샘

주4

종을 달아 두는 누각.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