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권 3책. 목활자본. 1926년 후손 해중(海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7대손 석(檡)의 발문이 슬롯 꽁 머니.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슬롯 꽁 머니.
권1에 시 49수, 권2∼5에 서(書) 223편, 권6에 기(記) 5편, 제발 7편, 권7에 잡저 9편, 제문 17편, 축문 5편, 행장 4편, 전(傳) 2편, 잡기 1편, 권8에 부록으로 묘표·가장 각 1편, 제문 17편, 만사 21수 등이 수록되어 슬롯 꽁 머니.
시에는 차운(次韻)·증별(贈別) 또는 만시(輓詩)가 많고, 기타 영물(詠物)·감회를 나타낸 것도 상당수 슬롯 꽁 머니. 「우음(偶吟)」은 『대학』을 300번 읽고 3개월의 정좌 끝에 깨달은 바를 옮긴 시라고 주석되어 슬롯 꽁 머니. 또, 「별이주경세석연행(別李周卿世奭燕行)」과 「유감(有感)」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을 표현하고 슬롯 꽁 머니.
서 중에는 이세필(李世弼)과 교환한 서찰이 많은데, 여러 선생의 예설(禮說)을 분류, 편차(編次)해 상당히 심도 있게 논구한 내용이 들어 슬롯 꽁 머니. 스승 권상하(權尙夏)에게 올린 문목(問目)에는 이기설과 경전에 대한 훈고(訓詁)·예설 등이 슬롯 꽁 머니.
그 가운데 예설에 관해서는 혼례 때 신랑·신부의 위치와 음식을 진설하는 방법이 이유태(李惟泰)의 집안에서 쓰는 고례(古禮)와 주희(朱熹)의 『가례(家禮)』가 서로 다른 것에 관해 묻고, 이어 서동부서(壻東婦西)로 된 고례의 서부즉석설찬도(壻婦卽席設饌圖)를 그려 넣고 슬롯 꽁 머니. 기타의 서에도 성리설과 예설에 관한 내용이 많다.
기의 「조령산성기(鳥嶺山城記)」는 조정의 계획에 의해 이중창(李重昌)이 문경군수로 부임, 조령의 옛성에 자성(子城)을 완공시킨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임진왜란 때 신립(申砬)이 군량미가 부족하고 축성이 안 되어 군사 요충인 이곳을 버리지 않을 수 없었다는 내용이 강조되어 슬롯 꽁 머니.
잡저의 「만동사시비변(萬東祠是非辨)」은 당시 만동묘(萬東廟)에 있는 명나라 신종의 신위를 두고 일부에서 선비가 천자를 제사하는 것은 외람된 일이라는 등의 시비가 있자, 그에 대해 반박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