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왕실 재정의 수입원과 관련된 군현제의 하부 행정 단위로서 향(鄕) · 소(所) · 부곡(部曲) · 진(津) · 역(驛) · 장(莊)과 함께 군현에 예속되어 있던 왕실 소속의 촌락.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초기
공포 시기
고려 초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고려 말 조선 초
시행처
고려왕조
주관 부서
고려 상서성 호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처(處)는 바카라 게임시대 왕실 재정의 수입원과 관련된 군현제의 하부 행정 단위로서 향(鄕)·소(所)·부곡(部曲)·진(津)·역(驛)·장(莊)과 함께 군현에 예속되어 있던 왕실 소속의 촌락이다. 처는 장처전(莊處田)의 처전(處田)이 있었던 촌락으로 왕실에 예속되어 왕실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였다.

정의
고려시대, 왕실 재정의 수입원과 관련된 군현제의 하부 행정 단위로서 향(鄕) · 소(所) · 부곡(部曲) · 진(津) · 역(驛) · 장(莊)과 함께 군현에 예속되어 있던 왕실 소속의 촌락.
제정 목적

처(處)는 신라 녹읍제(祿邑制)부터 내려오던 제도로, 비슷한 것으로토토 카지노C7A5;이 있었다. 장과 함께 주로 왕실에 소속되어 재정적 기초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궁원(宮院) ·주2또는 개인에게 귀속된주3도 있었다.

내용

처의 형성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장의 경우와 같이 신라 말 바카라 게임 초로 추정된다. 즉, 지방에 대한 중앙의 통제가 강화되는 과정에서 지방바카라 오토프로그램D638;바카라 오토프로그램C871;의 지배 아래에 있던 일부 촌락이 장 또는 처라는 이름으로 왕실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설 바카라C2E0;사설 바카라C99D권7, 여주목(驪州牧) 고적(古跡), 등신장(登神莊)조에 의하면 “바카라 게임 때 (중략) 처(處)라 부르는 곳과 장(莊)이라고 부르는 곳이 있었는데, 각각 궁전, 사원,카지노 입플B0B4;카지노 입플C7A5;카지노 입플D0DD;에 나누어 소속되어 그 세(稅)를 바쳤다.”라고 하여 장처는 궁전이나 사원, 내장택에 소속되어 거기에 소속된 민(民)들이 토지를 경작하여 세를 바쳤던 곳이었다. 이에 의하면 처나 장은 왕실이나 사원에 소속된 촌락으로 해당 촌락의 토지를 경작하여 그 수확물의 일부를 궁원이나 사원에 세를 바친 촌락이었음을 알 수 있다.

처는 장과 함께 바카라 게임 왕실 재정의 수입원과 관련된에볼루션 바카라AD70;에볼루션 바카라D604;에볼루션 바카라C81C;의 하부 촌락으로서주4은 장과 처에 분포된 토지이다.권78, 식화(食貨)1, 전제(田制),에블루션 바카라B179;에블루션 바카라ACFC;에블루션 바카라C804; 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6B0;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655;14년 7월 조인옥(趙仁沃)의 상서(上書)에 의하면 전국에 걸쳐 있는 360여 곳의 장처전은주5을 위한, 받들기 위함이라고 하여 장처전이 공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토지임을 적시하고 있다. 여기서 공상은 왕실 재정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용어로온라인 카지노 합법 사이트AD81;온라인 카지노 합법 사이트C6D0;온라인 카지노 합법 사이트C804;이나 장처전으로부터 거두어들이는메이저 바카라 조세(租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입으로 충당한다고 보고 있다.

이처럼 바카라 게임시대에는슬롯사이트 2025년C591;슬롯사이트 2025년ACC4;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360개의 장과 처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여러 지리지(地理志)에서 확인되는 곳은 30여 개뿐으로 경기도 · 충청도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다. 이들 처는 단순한 면적 단위의 장원(莊園)이 아니라, 단수 또는 복수의 촌락으로 구성된 지역적 행정 구획의 하나로서주6의 하부 단위였다. 그러므로 처는슬롯사이트 소닉 추천D604;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며, 조선시대에는 대부분 군현에 흡수되었다.

처에는 일반 군현이나슬롯사이트 소닉 추천BD80;슬롯사이트 소닉 추천ACE1;등과 같이 처리(處吏)라 불리는 이속층(吏屬層)이 있었다. 이들은 처에 부과된 각종 조세(租稅)의 수취 및 납부를 담당하였다. 또한사설 카지노C591;사설 카지노C778;이지만 군현인과는 차별 대우를 받았던주7이 있었다. 『바카라 게임사』 권28, 세가(世家) 충렬왕(忠烈王) 4년 7월 을유조에 따르면 “‘상하(上下)를 불문하고 모두 처간(處干)을 없애고주8을 부과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처간이란 다른 사람의 밭을 경작하여 주인에게는 조(租)를 주고 관청에는 용(庸)과 조(調)를 바치는 자들로 바로바카라 디시C804;바카라 디시D638;를 말한다. 당시에 권세가들이 백성들을 많이 끌어 모아 처간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삼세를 포탈하여 그 폐단이 특히 심하였다.”라고 하여 장처전 가운데 처전(處田)을 경작하던 농민을 처간이라고 불렀으며, 이들은 원래 전호로서 다른 사람의 토지를 경작하여 조를 바치고 용과 조는 국가에 바쳤던 농민들이었다. 즉, 이들은 전주(田主)인 왕실 · 궁원 · 사원 등에 조세를 부담하고, 국가에는슬롯사이트 추천ACF5;슬롯사이트 추천BB3C;카지노칩 추천C694;카지노칩 추천C5ED;을 바치는 존재로서, 처의 토지 경작에 직접 참여하는 자영 농민이었다.

의의 및 평가

장처전은 소속 기관의주10로서 소정의 전조(田租)를 내야 하는 농민 소유의바카라 게임 사이트BBFC;바카라 게임 사이트C804;이었다. 바카라 게임 후기에 왕실은마카오 카지노 바카라694;물고를 두어 처의 관리와 이곳에서의 조세 수취를 관장하게 하였다. 바카라 게임 후기에 들어 권세가들이 일반 농민들을 모아서 처간이라고 부르면서 삼세를 모두 포탈하는 폐단을 일으키자슬롯 머신 게임AC15;슬롯 머신 게임C218;슬롯 머신 게임D615;등은 처간의 폐지를 건의하였다.

한편, 처는 장과는 달리 바카라 게임 초기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충렬왕 대를 전후한 시기에 왕실 · 궁원 · 사원 및 권세가들이 왕지(王旨)를 얻어 촌락 전체를 집단적으로주9면서 성립되었다는 설도 있다. 따라서 처의 토지는 소속 기관이나 개인의 집단적인 사유지이며, 처간 역시 소작인이었다는 주장이다. 한편 처간은 바카라 게임 전기 이래 처에 소속되어 삼세를 모두 왕실에 내는 사실상 사적 예속민이었다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원전

『바카라 게임사(高麗史)』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강진철, 『바카라 게임토지제도사연구』(바카라 게임대학교 출판부, 1980)
박종기, 『바카라 게임시대부곡제연구』(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박종진, 『바카라 게임시기 재운영과 조세제도』(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송수환, 『조선전기 왕실재정연구』(집문당, 2002)
안병우, 『바카라 게임전기의 재정구조』(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논문

김재명, 「바카라 게임후기 왕실재정의 이중적 구조: 이른바 사장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진단학보』 89, 진단학회, 2000)
송병기, 「바카라 게임시대의 농장」(『한국사연구』 3, 한국사연구회, 1969)
송수환, 「바카라 게임말의 사전: 처간의 사회적 존재형태와 관련하여」(『사학연구』 47, 한국사학회, 1994)
이상선, 「바카라 게임시대의 장·처에 대한 재고」(『진단학보』 64, 진단학회, 1987)
이정란, 「바카라 게임·조선전기 왕실부의 재정기구적 면모와 운영방식의 변화」(『한국사학보』 40, 바카라 게임사학회, 2010)
이정란, 「바카라 게임후기의 공상제와 왕실재정의 상관성에 대한 시론」(『한국중세사연구』 56, 한국중세사학회, 2019)
旗田巍, 「高麗時代の王室の莊園-莊·處-」(『歷史學硏究』 246, 1960)
주석
주1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제도.우리말샘

주2

종교의 교당을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3

개인이 사사로이 거처하는 곳.우리말샘

주4

바카라 게임 시대에, ‘내장전’을 달리 이르던 말. 장과 처로 구분되어 있어 이렇게 불렀다.우리말샘

주5

물건 따위를 상급 관청이나 궁중, 또는 임금에게 바치던 일.우리말샘

주6

군현 제도에서의 군(郡)과 현(縣)을 아울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7

바카라 게임 시대에, 왕실ㆍ왕족ㆍ사원 등의 소유지에 딸린 천민. ‘처’는 봉건 지주의 농장을 가리키고, ‘간’은 천민을 가리킨다.우리말샘

주8

국가나 공공 단체가 특정한 공익사업을 위하여 보수 없이 국민에게 의무적으로 책임을 지우는 노역.우리말샘

주9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아 차지하다.우리말샘

주10

조세를 받을 권리가 있는 땅. 나라에서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