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동의 난 ()

고려시대사
사건
1182년(명종 12), 전라도 전주에서 죽동과 관노들이 일으킨 반란.
이칭
이칭
전주 관노의 난
사건/사회운동
발생 시기
1182년(명종 12)
종결 시기
1182년(명종 12)
발생 장소
전라도 전주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죽동, 진대유, 이택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죽동의 난은 1182년(명종 12) 전라도 전주에서 죽동과 관노들이 일으킨 반란이다. 무신정권 수립 후 전국 각지에서 민란이 치열하게 일어났는데, 전주에서는 주현군의 기두 죽동이 관노들과 함께 난을 일으키고 전주성을 장악카지노 토토 40여 일간 저항하였다.

정의
1182년(명종 12), 전라도 전주에서 죽동과 관노들이 일으킨 반란.
발단

1170년(의종 24)바카라 드래곤BB34;바카라 드래곤C2E0;바카라 드래곤C815;바카라 드래곤AD8C;수립 후 집권 무신들의 토지주1과 지방관리의주2로 농민들의 생활이 궁핍카지노 토토지자 전국 각지에서 민란이 치열하게 일어났다. 전주에서 난이 일어나기 직전에도바카라 나락AD00;바카라 나락C131에서도 지방관의 탐학에 반발카지노 토토 민란이 일어났다.

전주2025년 슬롯사이트C0AC;2025년 슬롯사이트B85D;진대유(陳大有)는 자신이 강직하다고 자부하고 형벌을 가혹하게 카지노 토토 백성들이 고통을 받았다. 그때 나라에서 정용보승군(精勇保勝軍)을 보내어 관선(官船)을 만들게 하였는데, 진대유는 상호장(上戶長) 이택민(李澤民)과 함께 역사(役事)를 심하게 독촉하였다.

경과 및 결과

그러자 1182년(명종 12) 3월 주현군(州縣軍)의 기두(旗頭) 죽동(竹同) 등 6명이 관노(官奴)와 불만의 무리를 모아, 진대유를 산사(山寺)로 내쫓고 이택민 등 10여 인의 집을 불태웠으며 판관(判官) 고효승(高孝升)을 협박카지노 토토 주리(州吏)를 바꾸었다. 안찰사(按察使)바카라 노하우 디시BC15;바카라 노하우 디시C720;바카라 노하우 디시BCF4;가 전주에 들어가자 죽동 등은 군세를 가다듬고 한편으로는 진대유의 잘못을 낱낱이 고하였다.

이에 안찰사는 진대유를 서울로 압송하고 도내의 군사를 모두 동원카지노 토토 전주성을 40여 일이나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정부에서 합문지후(閤門祗候) 배공숙(裵公淑), 낭중(郎中) 임용비(任龍臂) 등을 연이어 파견카지노 토토 난군을 타일렀고 그 과정에서 난군에 내부 분열이 일어난다. 그리카지노 토토바카라 사이트C77C;바카라 사이트D488;바카라 사이트AD70; 슬롯사이트 볼트 추천B300;슬롯사이트 볼트 추천C815;과 승도(僧徒)가 죽동 등 10여 명을 살해함으로써 4월에야 난이 평정되고 잔당 30여 명도 처형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이 난은 지방관과 주리의 횡포에 반발한 주현군·관노·승도·농민들이 연합카지노 토토 봉기한 사건이었으며, 전 병력의 토벌에도 40여 일이나 버틴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난군이 매우 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이정신, 『고려 무신정권기 농민·천민 항쟁 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1)
주석
주1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아 차지함.우리말샘

주2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우리말샘

집필자
윤용혁(공주대학교 명예교수, 고려시대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토토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카지노 토토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