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수 ()

장태수 선생 유물 / 영정
장태수 선생 유물 / 영정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시종원부경 등을 역임한 관료. 순국지사.
이칭
성안(聖安)
일유재(一逌齋)
이칭
남강거사(南岡居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1년(헌종 7)
사망 연도
1910년(순종 3)
본관
인동(仁同)
출생지
전라북도 김제
관련 사건
단발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중추원의관, 시종원부경 등을 역임한 관료. 순국지사.
개설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성안(聖安), 호는 일유재(一逌齋).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출신. 내부협판 장한두(張漢斗)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1년(철종 1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슬롯 꽁 머니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에 제수된 뒤 전적 · 선략장군부사과(宣略將軍副司果), 예조정랑 · 사헌부지평 · 정언 · 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867년(고종 4) 양산군수에 임명되어 부국양병에 주력하고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조영규(趙英珪)의 제단을 고쳐 제향하였다.

당시의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제수되고 1872년 고종을 수행슬롯 꽁 머니 송도에 다녀왔다. 그 뒤 병조참의 ·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 · 동부승지 ·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 춘추관수찬관(春秋官修撰官) 등을 지내고, 1894년 동학란 중에 고산현감에 부임하였다.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사직하고, 스스로 남강거사(南岡居士)라 하고 은거하였다. 그러나 1904년 이후 다시 관계에 진출슬롯 꽁 머니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 시종원부경(侍從院副卿) · 칙임관3등에 임명되었다.

1910년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제병합하자 일제의 회유책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불충과 불효한 죄를 죽음으로 씻는다고 단식슬롯 꽁 머니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기려수필(騎驢隨筆)』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 광복출판사, 1983)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신용하(서울대학교, 사회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꽁 머니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슬롯 꽁 머니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