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배 ()

이의배 신도비
이의배 신도비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전라좌수사, 안동부사, 공청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의백(宜伯)
시호
충장(忠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6년(선조 9)
사망 연도
1637년(인조 15)
주요 관직
명천부사|전라좌수사|안동부사|공청병마절도사
관련 사건
병자호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전라좌수사, 안동부사, 공청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자는 의백(宜伯).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한양군(同知中樞韓陽君) 이흥준(李興俊)이고, 아버지는 장령(掌令) 이흡(李洽)이며, 어머니는 여흥 이씨(驪興李氏)로 예조판서 이우직(李友直)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99년(선조 32) 무과에 급제해 선전관이 되고 이어 감찰로 전임되었다. 그 뒤 연해(沿海) 지역인 보령현감카지노 칩 발탁되었으나, 이 무렵은 임란 왜군이 겨우 철수한 때라서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교체되었다.

광해군 혼정(昏政) 때에는 출사하지 않다가 1623년 인조반정에 앞서 정사(靖社)의 밀모에 가담해 반정 후 통정(通政)카지노 칩 승진하고 명천부사에 제수되었다. 이괄(李适)의 난 후 전라좌수사로 승진하였다.

이어 인동부사로 전임되고, 1630년(인조 8) 한천군(韓川君)카지노 칩 봉해졌으며, 공청병마절도사(公淸兵馬節度使)·김해부사, 전라병사, 오위도총부부총관, 황해·평안·함경도 등의 병사를 거쳐, 1635년 공청병마절도사로 다시 부임해 그곳에서 병자호란을 맞았다.

적의 변란 소식을 듣고 남한산성 행재소(行在所)에 달려가기 위해 급히 임지 부근의 속오병(束伍兵) 수 천명을 겨우 모아 출전을 서둘렀다.

가사를 동생에게 맡기고 부인에게 흰 명주로 행전(行纏: 바지·고의를 입을 때 정강이에 꿰어 무릎 아래에 매는 물건)을 만들게 해 푸른 비단카지노 칩 바지 속 양 다리에 동여매니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묻는 말에 “전투에 임하기 전에 사생을 알 수 없는데, 후일 이것카지노 칩써 알아차리게 함이다.”하고 결연히 고군(孤軍)을 이끌고 남한산성을 향하였다.

광주(廣州) 부근 죽산에 당도해 다음 날 남한산성카지노 칩 향하다가 전봉장 이차형(李次衡)·이근영(李根永)이 적의 습격을 받아 전사하고 중과부적이 되자, 영남 근왕병(嶺南勤王兵)의 합류를 기다렸다가 다시 진격하였다.

경상좌절도사 허완(許完)과 우절도사 민영(閔栐)의 군과 함께 광주 쌍령에 정족(鼎足)카지노 칩 진을 치고, 먼저 공격해온 적과 치열한 접전 끝에 아군이 많은 사상자를 내고 무너지자, 비장(裨將)의 피신 권유를 물리친 채 살아남은 노비 축생(丑生)과 힘을 다해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이 싸움에서 허완·민영 등 양 절도사도 함께 전사하였다. 조정에서는 후일 이들의 공을 가상히 여겨 이의배 부자 및 허완·민영 등 양 절도사, 노비 축생을 모두 정려하였다. 그리고 이의배는 처음에 병조판서로 추증했다가 다시 영의정카지노 칩 승격 추증하였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칩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지노 칩]'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카지노 칩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