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1911년 11대손 해영(海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직(李中稙)·김규화(金奎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서정옥(徐廷玉)과 8대손 종호(宗皓)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9수, 논(論) 2편, 해(解) 1편, 향규(鄕規) 1편, 제문 3편, 권2에 연보, 만사 2편, 행장, 묘갈명, 묘지명, 서 6편, 일기, 입암서원배향축문(立巖書院配享祝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기질지성론(氣質之性論)」에서는 성(性)에서 칠정(七情)이 발하는데 칠정은 기질이 나누어져 나온 것이라 바카라 꽁 머니, 정(情)이 없으면 본성의 체(體)를 알 수 없듯이 기질이 없으면 천리(天理)의 움직임이 드러나지 않는다고 하며 기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의해(仁義解)」에서는 인의의 중요성을 역설바카라 꽁 머니 인은 여러 선(善)들 가운데 첫째요, 의는 일신(一身)의 긴요한 것이라고 하였다.
「아천향약계서부약규(阿川鄕約契序附約規)」는 1601년(선조 34)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향촌사회를 재건하고자 만든 향약에 대한 서문을 적은 글이다.
이 향약은 『여씨향약(呂氏鄕約)』과 이황(李滉)의 향약조문에 의거바카라 꽁 머니 세운 것인데, 다른 향약과 비교바카라 꽁 머니 특이한 점은 상사(喪事)와 장례(葬禮)문제를 특히 강조바카라 꽁 머니 이에 관계된 조문을 따르지 않았을 경우 30대의 태형(笞刑)을 가하도록 한 것이다. 조선시대 향약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제지산조선생문(祭芝山曺先生文)」은 스승 조호익(曺好益)에 대한 제문이다. 저자의 글은 많이 일실되어 현존하는 것이 적으나, 성리에 관한 글은 조선 중기 성리학의 발전과 관련바카라 꽁 머니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