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트기식 고분 (앞트기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개념
지하 또는 지상에 축조된 묘실로 세 벽과 천장을 먼저 완성한 다음 터진 한 쪽 벽으로 주검을 넣고 그 벽을 막아서 만든 형식의 무덤. 횡구식고분.
이칭
이칭
횡구식고분(橫口式古墳)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앞트기식 파라오 슬롯은 세 벽과 천장을 먼저 완성한 다음 터진 한쪽 벽으로 주검을 넣고 그 벽을 막아서 만든 형식의 무덤이다. 분묘의 입구가 트인 형식으로 ‘횡구식파라오 슬롯(橫口式古墳)’이라고 한다. 묘실 내에 묘길[羨道]을 갖춘 형식과 설치하지 않은 형식으로 구분된다. 묘실의 규모를 크게 하면서 천장을 올리기도 전에 무너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추가장인 부부합장을 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이 파라오 슬롯은 주로 가야와 신라에서 성행하였다. 대표적인 파라오 슬롯으로는 안동 조탑동파라오 슬롯, 의성 탑리파라오 슬롯, 부여의 정암리·지산리 파라오 슬롯, 홍성 성호리파라오 슬롯, 익산 성남리파라오 슬롯 등을 들 수 있다.

목차
정의
지하 또는 지상에 축조된 묘실로 세 벽과 천장을 먼저 완성한 다음 터진 한 쪽 벽으로 주검을 넣고 그 벽을 막아서 만든 형식의 무덤. 횡구식고분.
내용

분묘의 입구가 트인 형식이므로 ‘횡구식 파라오 슬롯(橫口式古墳)’이라고 한다. 묘실 내에 묘길[연도(羨道)]을 갖춘 형식과 설치하지 않은 형식으로 구분된다. 초기의 형식은 묘실이 기본적으로 수혈식파라오 슬롯(竪穴式古墳)[구덩식 파라오 슬롯]과 같은 구조에서 묘길을 시설하지 않고 한 쪽 벽만을 나중에 막아 널방을 축조했으나 점차 묘실의 공간이 커지고 묘길을 구비한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횡구식 파라오 슬롯의 발생은 매장주체(埋葬主體) 시설인 묘실의 규모를 크게 함으로써 야기되는 축조공법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등장된 형식이다.

수혈식 파라오 슬롯의 묘실벽이 높아져 천장석으로 얹어 누르기 전에 도괴의 우려가 있을 때 부득이 횡구식파라오 슬롯으로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또한 장법(葬法)의 변화에서 부부슬롯사이트 2025년D569;슬롯사이트 2025년C7A5;(夫婦合葬)이라는 추가장(追加葬)을 하기 위해서 고안된 묘제(墓制)이다.

횡구식 파라오 슬롯은 수혈식계의 횡구식카지노 바카라B3CC;카지노 바카라B367;카지노 바카라B110;카지노 바카라BB34;카지노 바카라B364;(橫口式石槨墳)과 횡혈식계의 횡구식무료 슬롯 사이트B3CC;무료 슬롯 사이트BC29;무료 슬롯 사이트BB34;무료 슬롯 사이트B364;(橫口式石室墳)으로 구분된다. 종래 횡혈식계인 횡구식 돌방무덤의 성격으로 구분되었던 횡구식 돌덧널무덤은 한 쪽의 작은 묘실문[墓室門]을 열고 들어가는 횡구식 구조이지만 전체적으로 수혈식 돌덧널무덤의 구조이다.

추가장의 목적이라기보다는 수혈복개(竪穴覆蓋)의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횡구식을 취한 형식이다. 횡구식 돌방무덤은 횡혈식 돌방무덤의 성격을 지닌 것이다. 묘길의 유무에 관계없이 묘실에는 널받침대[棺臺, 屍床臺]가 설치되어 있고 추가장의 실례를 보이고 있다.

횡구식 파라오 슬롯은 주로 가야와 신라의 묘제로 성행하였다. 횡구식 돌덧널무덤은 추가장의 성행과 고구려 · 백제의 횡혈식 돌방무덤의 영향을 받아 점차 횡구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었다.

이 두 계통의 횡구식 파라오 슬롯의 편년은 수혈식계의 횡구식 돌덧널무덤은 4세기 후반∼5세기, 횡혈식계의 횡구식 돌방무덤은 5세기 중반∼6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축조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파라오 슬롯의 형식 변천은 수혈식 파라오 슬롯에서 횡구식 파라오 슬롯을 거쳐서 횡혈식 파라오 슬롯으로 발전되었다.

대표적인 파라오 슬롯으로는먹튀 없는 바카라 사이트548;동, 바카라 도박C758;바카라, 대구 비산동 제34호분, 성주 성산동 제1호분(2025년 슬롯사이트131에 포함),바카라 공식ACF5;바카라· 공주 남산리 파라오 슬롯·공주, 카지노 파칭코BD80;카지노· 부여 지산리 파라오 슬롯,보령 보령리 파라오 슬롯군, 홍에볼루션 바카라131;, 카지노 꽁 머니775;카지노에 포함)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백제 횡구식 석축묘제 연구」(박대순,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낙동강 상류지역 횡구식석실 연구」(이재환, 경북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거제 아주동파라오 슬롯군에 대한 일고찰: 횡구식석실분의 묘제중심으로」(김문철, 『경문논총』창간호, 2007)
「창녕지역 횡구식석실분 연구(昌寧地域 橫口式石室墓 硏究)」(김석환, 『동아문화』제2·3호, 2007)
『신라 후기 파라오 슬롯문화 연구(新羅 後期 古墳文化 硏究)』(홍보식, 춘추각, 2003)
『백제 횡구식 묘제(百濟 橫口式 墓制)의 검토(檢討)』(이남석, 『역사와 역사교육』5, 2000)
「금강유역 백제파라오 슬롯(錦江流域 百濟古墳)의 연구(硏究)」(최완규, 숭실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백제지역 횡구식석곽분 연구(百濟地域 橫口式石槨墳 硏究)」(최완규, 『백제연구』27, 1997)
『백제 석실분 연구(百濟 石室墳 硏究)』(이남석, 학연문화사, 1995)
「신라석실파라오 슬롯(新羅石室古墳)의 연구(硏究)」(최병현, 『숭실사학』5, 1988)
『삼국시대분구묘연구(三國時代墳丘墓硏究)』(강인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가야파라오 슬롯(伽耶古墳)의 편년연구(編年硏究)」(이은창, 『한국고고학보』12,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