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에는 일명 척(尺) 또는 악생(樂生), 고려시대에는 영인(伶人) 또는 공인(工人)으로 불렸고, 조선시대에도 공인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일본 나라시대(奈良時代)에 일본에 파견되었던 삼국악인들은 악생이라고 불렸으나, 본국에서는 라바 카지노 또는 척이라고 불렸다.
고려시대 라바 카지노은 대악서(大樂署)와 관현방(管絃房) 소속의 음악인들이었는데, 라바 카지노들의 직분은 1053년(문종 7)에 세습하도록 하였으며, 1140년(인종 18)에는 벼슬길에 오르지 못하도록 하였다.
조선 초기 라바 카지노은 전악서(典樂署)와 아악서(雅樂署) 및 관습도감(慣習都監) 소속으로 활동하였고, 장악원(掌樂院)의 설립 이후 우방에 속해 있으면서 향악과 당악을 연주하였다.
조선시대 라바 카지노이라는 명칭은 장악원의 좌방소속으로 있으면서 아악을 연주하였던 악생의 대칭어로 쓰였다. 조선시대 라바 카지노들은 원칙적으로 공천(公賤) 중에서 뽑혔으나, 양인 신분으로 라바 카지노을 원하는 사람은 될 수도 있었다. 장악원의 라바 카지노직은 모두 라바 카지노적(樂工籍)에 올라 세습적으로 전승되었고, 50세 이후에야 라바 카지노적에서 벗어나 공역을 면제받았다.
성종 때 라바 카지노의 숫자는 악사 2명, 라바 카지노 518명, 보수(補數) 52명 등 총 572명이었으나, 병자호란 이후 429명으로 줄었다가 영조 때 446명으로 정하였다. 조선 후기의 라바 카지노들은 그들의 봉족(奉足)이 바치는 가포(價布)로 생활하였고, 큰 공을 세우는 경우에 가자(加資:품계를 올리는 일)나 면천을 받았다. 조선 초기에 라바 카지노의 선발과 훈련은 악학(樂學)이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