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악집 ()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인 이안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0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40년(인조 18)
간행 시기
1640년(인조 18)
저자
이안눌(李安訥)
편자
이식(李植)|이잠(李梣)
권책수
28권 13책
권수제
동악선생집(東岳先生集)
판본
목판본
표제
동악집(東岳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악집(東岳集)』은 조선시대 문인 이안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0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총 28권 13책으로, 원집(原集) 26권 12책과 속집(續集)·별록(別錄)·부록(附錄)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 베트먄 토토은 대부분 시이며, 작자 이안눌의 부임지 또는 유배지에 따라 해당 시기에 지은 베트먄 토토을 편년체로 수록하고 있다. 임병양란의 체험과 기억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시베트먄 토토을 비롯해 부임지와 유배지에서의 생활과 사행(使行)의 여정과 체험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시 베트먄 토토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시대, 문인 이안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0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 사항

『동악집』은 총 28권 13책으로, 원집(原集) 26권 12책과주1 · 주2 · 주3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동악집』의 편찬 및 간행 경위는정품 슬롯사이트C2E0;정품 슬롯사이트C775;정품 슬롯사이트C131;이 쓴 서문과카지노 슬롯머신 게임C774;카지노 슬롯머신 게임C2DD;이 쓴 발문에 자세히 나와 있다.바카라 시스템배팅C774;바카라 시스템배팅C548;바카라이 세상을 떠난 지 3년째 되는 1639년(인조 17)에 이안눌의주5인 이식(李植)이 이안눌의주6를 정리하였다. 이듬해인 1640년(인조 18)에 조카 이잠(李梣)이 이식과 논의하여 문집을 간행하였는데, 당시 전라감사슬롯 무료 사이트C6D0;슬롯 무료 사이트B450;슬롯 무료 사이트D45C;토토 도박AD6C;토토 도박BD09;토토 도박C11C;, 전주부윤바카라 토토C624;바카라 토토B2E8;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D55C;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D765;무료 슬롯 머신 다운 받기C77C;의 도움을 받아 원집(原集) 24권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이후카지노 게임 추천BD80;바카라 총판C7A1;바카라 총판C800;2권이 추가되었다. 이안눌이바카라 방법BB38;바카라 방법ACFC;에 급제하기 이전에 지은 베트먄 토토들을 모아 속집(續集)으로 엮은 다음 여러 사람들의주7를 속집의 별집(別集)으로 보충하였으며,온라인카지노D589;온라인카지노C7A5;등의 여러 베트먄 토토들을 모아 속집의 부록(附錄)으로 간행하였다.

구성과 내용

『동악집』에 수록된 베트먄 토토은 대부분 시이며, 총 2,319제 4,379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칠언주18로 작성된 시 베트먄 토토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보통의 시문집이 시를 형식별로 수록하고 있는 반면, 『동악집』은 작자의 부임지 또는 유배지에 따라 해당 시기에 지은 베트먄 토토을슬롯사이트사이트D3B8;슬롯사이트사이트B144;슬롯사이트사이트CCB4;로 수록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체제와 구성은 그의 증조부인카지노 필립C774;카지노 필립D589;의 문집인슬롯 머신 사이트C6A9;슬롯 머신 사이트C7AC;슬롯 머신 사이트C9D1;에서도 살필 수

권수주8에는 신익성의 서문이 있으며,주9에는 이식의 발문이 있다. 『동악집』의 원집 권 1에서 권 21까지는 이안눌이주10으로 나가 있을 때와 유배지에서 지은 시 베트먄 토토을 권별로 수록하고 있다. 권 1은 「북새록(北塞錄)」, 권 2는 「조천록(朝天錄)」, 권 3은 「동사록(東槎錄)」, 권 4는 「호서록(湖西錄)」, 권 5는 「관서록(關西錄)」, 권 6은 「단주록(端州錄)」, 권 7은 「홍양록(洪陽錄)」, 권 8은 「내산록(萊山錄)」, 권 9는 「담주록(潭州錄)」, 권 10은 「금계록(錦溪錄)」, 권 11은 「월성록(月城錄)」, 권 12는 「강도록(江都錄)」, 권 13은 「관서후록(關西後錄)」, 권 14는 「관서속록(關西續錄)」, 권 15는 「북찬록(北竄錄)」, 권 16은 「동천록 상(東遷錄上)」, 권 17은 「동천록 하(東遷錄下)」, 권 18은 「강도후록(江都後錄)」, 권 19는 「함영록(咸營錄)」, 권 20은 「조천후록(朝天後錄)」 권 21은 「호영록(湖營錄)」이다. 권 22와 권 23은 ‘습유록(拾遺錄)’이라는주11아래, 이안눌이 벼슬에 잠시 머물거나주12에 있을 때 지은 시베트먄 토토을 수록하고 있다. 권 24는 「집자체(集字體)」, 권 25는 「부초(賦鈔)」로 부 11편, 권 26은 「잡저초(雜著鈔)」로바카라 사이트C11C; · 에블루션 바카라C804; · 주13 · 카지노 꽁머니 즉시지급C81C;카지노 꽁머니 즉시지급BB38;· 발문 등 30편이 수록되어 있다. 『동악집』의 속집은 벼슬하기 전에 지은 베트먄 토토과 만사(輓詞)와 제문을 모은 별록, 행장과주14 주15등을 모은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동악집』에는 이안눌이 겪었던바카라 꽁 머니C784;바카라 꽁 머니C9C4;바카라 꽁 머니C65C;바카라 꽁 머니B780;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BCD1;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C790;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D638;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B780;의 실상과 참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시 베트먄 토토이 다수 수록되어 있어 임병양란으로 피폐해진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주16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전국에 걸친 다양한 부임지와 유배지에서의 생활을 읊은 시베트먄 토토들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1601년(선조 34)과 1632년(인조 10)에 걸쳐 명(明)나라에주17갔을 때 지은 시 베트먄 토토들에는 저자 이안눌의 체험과 경험이 생동감 있는 시어로 형상화되어 있어 우리나라와 중국 각 지역의 풍속과 풍물의 다양한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가원, 『한국한문학사』(민중서관, 1961)

논문

배주연, 「東岳 李安訥의 詩文學 硏究」(『한국고전연구』 12,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이병주, 「李安訥의 詩文學」(『한국의 한문학』 4, 민음사, 1991)
이종묵, 「李安訥 漢詩 硏究」(『한국문화』 1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소, 1994)

인터넷 자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동악집 해제(https://kyudb.snu.ac.kr/)
한국고전종합DB: 동악집 해제(https://db.itkc.or.kr/)
주석
주1

원래 있던 편집물에 잇대어 편집함. 또는 그런 것.우리말샘

주2

따로 만든 기록.우리말샘

주3

본문 끝에 덧붙이는 기록.우리말샘

주5

육촌 형제의 아들.우리말샘

주6

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우리말샘

주7

죽은 이를 슬퍼하여 지은 글. 또는 그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적어 기(旗)처럼 만든 것. 주검을 산소로 옮길 때에 상여 뒤에 들고 따라간다.우리말샘

주8

책의 첫머리.우리말샘

주9

책의 맨 끝.우리말샘

주10

지방에 있는 감영(監營), 부(府), 목(牧), 군(郡), 현(縣)의 병영(兵營)과 수영(水營) 따위에 속한 문관과 무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11

책, 시문 따위의 표제나 제목의 이름.우리말샘

주12

기관의 중앙 부서에 있는 직책.우리말샘

주13

묘비나 묘표에 쓴 글.우리말샘

주14

무덤 근처에서 그 무덤으로 가는 큰길.우리말샘

주15

비석에 새긴 글자.우리말샘

주16

어떤 일을 되풀이하여 음미하거나 생각하다.우리말샘

주17

‘사신 행차’를 줄여 이르던 말.우리말샘

주18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율시. 모두 8구로 이루어진다.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베트먄 토토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베트먄 토토]'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