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938년 후손 송태섭(宋台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준필(宋浚弼)의 서가 있고, 권말에 송종술(宋鍾述)의 발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61수, 권2에 소 2편, 책 1편, 서(書) 22편, 권3에 서(書) 59편, 권4에 잡저 6편, 서(序) 2편, 기 2편, 발 7편, 잠 7편, 명 2편, 찬(贊)1편, 축제문 11편, 뇌문 2편, 행장 2편, 유사 1편, 전(傳) 1편, 부록으로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시상이 고고하고 시어가 청아한데, 그 중에서도 「영송간정십경(詠松澗亭十景)」은 그의 시재를 대변할 수 있는 역작이다. 소 2편은 척사소로, 김홍집(金弘集) 등이 수신(修信)을 주창하며 서학을 수입하고자 하는 것은 나라를 망치려는 행위라고 하는 사설 카지노이다.
「응지삼정책(應旨三政策)」은 삼정의 부당함과 대책을 밝힌 짧은 책문이다. 설의 「관기문지기인지지설(觀其文知其人之志說)」은 글은 사람의 뜻을 표현하는 것이며, 사람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므로 글을 보면 글쓴이의 뜻을 미루어 알게 된다는 사설 카지노이다.
서(序) 중 「향음예계안서(鄕飮禮契案序)」는 향음은 선비들의 행위에 불과하지만, 나라를 편하게 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대도로서 왕도임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잠 7편은 모두 덕성·문학(問學)·극기·성의(誠意)·주경(主敬)·관악(觀岳)·자경(自警) 등 수양의 사설 카지노이다.